“전두환 지시로 발포” 조사위 추가 입증 전력을
2023년 05월 18일(목) 00:00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그제 대국민 보고회를 통해 1980년 5·18 당시 계엄군들의 발포는 사실상 전두환의 지시였다는 증언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5·18조사위는 또한 당시 보안사령관이었던 전 씨가 공식 보고 체계가 아닌 별도의 직보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는 증언도 공개했다.

5·18조사위에 따르면 5·18 당시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이었던 박모 씨는 “발포 명령은 문서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 사실상 전두환의 지시라는 것에 대해 동감한다”고 증언했다. 박 씨는 “발포는 보안사 계통에서 지시가 내려간 것”이라는 진술도 했다.

이는 5·18 진상 규명에서 가장 중요한 발포 명령자가 사실상 전두환이었다는 것을 정부 기관이 확보한 증언을 통해 공식 확인했다는 데서 의미가 크다. “광주 시위 상황에 대해 전두환 사령관에게 보고하러 갔더니 자신보다 더 상세하게 파악하고 있더라”는 보안사령부 윤모 간부의 증언은 전 씨가 별도의 직보 체계를 갖추고 실시간으로 보고받고 지시를 내렸을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5·18조사위는 이밖에도 진상 규명을 위한 의미 있는 확인 결과를 내놓았다. 행방불명자로 추정되는 암매장 유골 12구를 발굴해 현재 유전자 감식 중이며, 코브라 공격 헬기에서 20㎜ 발칸포 사격이 있었다는 사실이 그것이다. 광주일보가 2018년 최초 보도한 5·18 당시 장세동이 광주에 왔었다는 것도 사실로 확인됐다. 계엄군이 광주·전남 20여 곳 이상에서 50회 가량 집단 발포를 했고 그로 인한 총상 사망자만 135명에 달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도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도 진상 규명의 핵심인 발포 명령자를 증언으로라도 확보한 만큼 5·18조사위는 남은 활동 기간 동안 추가 증거 확보에 전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내년 6월 내놓을 보고서를 기대해 달라”는 송선태 위원장의 말이 제대로 된 진상 규명 결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684335600752525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0일 01: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