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온 이태원 참사 유족 “특별법 제정 힘 보태 주세요”
“국민청원운동 앞장 서 달라”
![]()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는 30일 광주시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진보연대 제공> |
이태원 참사 유가족이 광주를 방문해 특별법 제정 촉구의 목소리를 냈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는 30일 광주시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의 명예회복과 추모를 위한 피해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특별법 제정이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태원 참사로 159명이 숨졌으며 생존한 피해자와 희생자 유가족, 이태원 주민들까지 수천 명에 달하는 피해자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인파가 몰릴 것에 대비해 안전 대책을 수립하지 않았고 112 신고와 보호요청과 사고 발생 직후 적절한 대응도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또 “경찰 특수본 수사는 이른바 ‘꼬리자르기’로 끝났고 정부는 참사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공식 사과는 커녕 면담요청에도 아무런 답이 없다”고 언급했다.
이들은 “암담한 현실에서 굳게 단결해 암흑의 시대를 이겨낸 5·18 광주시민들이 우리를 이끌어줬다”며 “광주와 전남 시·도민이 특별법 제정 국민청원운동에 앞장서 달라”고 요청했다.
10·29 진실버스는 27일을 시작으로 서울과 인천을 거쳐 내달 5일까지 총 12개 도시를 방문할 계획이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는 30일 광주시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의 명예회복과 추모를 위한 피해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특별법 제정이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경찰 특수본 수사는 이른바 ‘꼬리자르기’로 끝났고 정부는 참사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공식 사과는 커녕 면담요청에도 아무런 답이 없다”고 언급했다.
이들은 “암담한 현실에서 굳게 단결해 암흑의 시대를 이겨낸 5·18 광주시민들이 우리를 이끌어줬다”며 “광주와 전남 시·도민이 특별법 제정 국민청원운동에 앞장서 달라”고 요청했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