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철 외국인 노동자 수급 차질 없도록
2023년 03월 22일(수) 00:00
수년 전부터 농촌들녘은 고령화와 젊은 층 이탈, 인구감소로 인해 심각한 인력난을 겪어오고 있다. 올해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전남 지자체들이 농촌 인력난 해소에 발 벗고 나섰다. 지난 3년 동안 ‘코로나 19’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들의 입국이 제한됐으나 올해부터 허용됐다.

전남도에 따르면 법무부가 올해 상반기 22개 전남 지역에 배정한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총 2274명이다. 이들이 농촌현장에 배치되면 농번기 영농작업에 다소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어렵게 확보한 외국인 계절노동자들의 이탈이 우려돼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지난해 전남지역에서 53명이 이탈했다. 따라서 전남 지자체는 외국인 계절노동자들이 계약한 영농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생활하며 일할 수 있도록 근로환경과 급여, 주거상태, 인권보장 등을 지속적으로 살피고 지원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올해 처음 도입된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도 부족한 농촌인력을 수급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을 끈다. 하지만 농가들은 ‘필요한 인력에 비해 배정인력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며 대안을 요구하고 있다.

이제 외국인 계절노동자들이 없으면 농사짓기가 힘들어지는 현실이다. 올해는 극심한 가뭄까지 겹쳐 어느 때보다 외국인 계절노동자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전남 지자체는 올해 영농철에 외국인 계절노동자 수급에 차질없도록 해야 한다.

앞으로 정부는 농촌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외국인 계절노동자제와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을 보완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영농철 농촌일손 부족 문제를 풀기 위해 젊은 세대를 농촌으로 유입시키고, 기계화 작업을 도입하는 등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또한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679410800750142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2일 05:1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