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태우다…광주 도심 운암산 불 ‘火들짝’
광주 7개 단지 밀집 운암산 화재
주민 대피…7시간 30분만에 진화
올들어 광주·전남 산불 35건
순천서도 쓰레기 소각하다 불
불법 소각 행위 강력 단속키로
주민 대피…7시간 30분만에 진화
올들어 광주·전남 산불 35건
순천서도 쓰레기 소각하다 불
불법 소각 행위 강력 단속키로
![]() 광주시 소방안전본부 소방대원들이 지난 11일 광주시 북구 동림동 운암산 산불 현장에서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나명주 기자 mjna@kwangju.co.kr |
광주·전남 지역에 가뭄과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산림 근처에서 ‘논·밭두렁 태우기’ 등과 같은 소각 행위가 대형 산불로 번지는 사례가 많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광주시 산불방지대책본부 등은 불법 쓰레기 소각을 단속하고, 적발시 엄중 처벌한다는 방침이다.
12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3시 50분께 광주시 북구 동림동 운암산 일대에서 산불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소방당국은 주민 A(53)씨가 운암산 근처 대나무 밭에서 쓰레기를 태우기 위해 피운 불이 산불로 번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아 나뭇잎 등이 마른데다 강한 바람이 불면서 불은 급속도로 번지기 시작했다.
운암산 인근에 7개의 아파트 단지가 있는만큼 대형 인명피해가 예상돼, 광주시는 등산객 및 인근 시민들에게 대피 권고 문자를 보내기도 했다.
건조한 날씨로 한동안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뿌연 연기와 탄 내음이 주변 일대를 가득 채웠다. 일부 아파트 주민들은 불을 피해 대피하기도 했다.
소방당국과 북구청 등은 소방헬기 5대와 인력 1000여명을 동원해 화재 발생 7시간 30분 만인 밤 11시 20분께 완전히 진화했다.
불이 꺼지고 나서도 일부 직원들이 남아 잔불 감시를 진행하다, 12일 아침에 비가 오자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불을 낸 혐의를 받고 있는 A씨는 양손과 귓불 등에 2도 화상을 입어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북구청 특별사법경찰관은 A씨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혐의가 인정되면 산림보호법 제 53조 등에 따라 사법기관에 송치할 예정이다.
12일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강수량이 줄고 건조일수가 증가하면서 산불 발생 건수와 피해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올해 들어 12일 기준으로 광주에서만 6건의 산불이 발생했고, 피해면적은 4.44㏊로 조사됐다. 지난해 광주에서 같은 기간 1건의 산불이 발생해 0.08㏊의 피해가 발생한 것에 비하면 발생 건수와 피해 규모가 급증했다.
전남에서도 12일까지 29건의 산불이 발생해 56.49㏊ 면적이 피해를 입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8건의 산불이 발생해 44.21㏊의 피해를 입힌 것보다 증가했다. 특히 전남에서는 29건 중 절반에 가까운 14건의 산불이 쓰레기와 영농 부산물 소각으로 인해 발생했다.
최근 10년간 (2013년~2022년)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으로도 산림 근처 논·밭두렁 및 쓰레기 소각으로 인한 산불이 26%로 입산자 실화(32%)에 이어 두번째로 많았다.
지난 3일 오후 2시 30분께 순천시 월등면 망용리의 한 산에서도 쓰레기 소각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산불이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인근 과수원에서 폐농자재 등을 태우다 근처 산으로 불이 번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산불로 47㏊가 불타고, 주민 90여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산림청 등은 산불진화 헬기 23대 등을 투입해 21시간 만에 불을 완전히 껐다.
이처럼 올해 산불이 급증하자 산림청은 다음달 30일까지를 산불특별대책기간으로 설정하고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단계를 ‘주의’에서‘경계’로 상향해 대응태세를 강화했다. 산림청과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24시간 비상근무체제로 전환하고, 현장감시와 집중 단속에 나선다.
광주시 산불방지대책본부 관계자는 “최근 건조한 날씨가 이어져 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확산될 수 있다”며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 농업부산물 및 쓰레기 소각 등 불법 소각행위 단속을 강화하고, 적발시 엄중 처벌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천홍희 기자 strong@kwangju.co.kr
특히 산림 근처에서 ‘논·밭두렁 태우기’ 등과 같은 소각 행위가 대형 산불로 번지는 사례가 많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광주시 산불방지대책본부 등은 불법 쓰레기 소각을 단속하고, 적발시 엄중 처벌한다는 방침이다.
소방당국은 주민 A(53)씨가 운암산 근처 대나무 밭에서 쓰레기를 태우기 위해 피운 불이 산불로 번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아 나뭇잎 등이 마른데다 강한 바람이 불면서 불은 급속도로 번지기 시작했다.
운암산 인근에 7개의 아파트 단지가 있는만큼 대형 인명피해가 예상돼, 광주시는 등산객 및 인근 시민들에게 대피 권고 문자를 보내기도 했다.
건조한 날씨로 한동안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뿌연 연기와 탄 내음이 주변 일대를 가득 채웠다. 일부 아파트 주민들은 불을 피해 대피하기도 했다.
불이 꺼지고 나서도 일부 직원들이 남아 잔불 감시를 진행하다, 12일 아침에 비가 오자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불을 낸 혐의를 받고 있는 A씨는 양손과 귓불 등에 2도 화상을 입어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북구청 특별사법경찰관은 A씨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혐의가 인정되면 산림보호법 제 53조 등에 따라 사법기관에 송치할 예정이다.
12일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강수량이 줄고 건조일수가 증가하면서 산불 발생 건수와 피해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올해 들어 12일 기준으로 광주에서만 6건의 산불이 발생했고, 피해면적은 4.44㏊로 조사됐다. 지난해 광주에서 같은 기간 1건의 산불이 발생해 0.08㏊의 피해가 발생한 것에 비하면 발생 건수와 피해 규모가 급증했다.
전남에서도 12일까지 29건의 산불이 발생해 56.49㏊ 면적이 피해를 입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8건의 산불이 발생해 44.21㏊의 피해를 입힌 것보다 증가했다. 특히 전남에서는 29건 중 절반에 가까운 14건의 산불이 쓰레기와 영농 부산물 소각으로 인해 발생했다.
최근 10년간 (2013년~2022년)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으로도 산림 근처 논·밭두렁 및 쓰레기 소각으로 인한 산불이 26%로 입산자 실화(32%)에 이어 두번째로 많았다.
지난 3일 오후 2시 30분께 순천시 월등면 망용리의 한 산에서도 쓰레기 소각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산불이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인근 과수원에서 폐농자재 등을 태우다 근처 산으로 불이 번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산불로 47㏊가 불타고, 주민 90여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산림청 등은 산불진화 헬기 23대 등을 투입해 21시간 만에 불을 완전히 껐다.
이처럼 올해 산불이 급증하자 산림청은 다음달 30일까지를 산불특별대책기간으로 설정하고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단계를 ‘주의’에서‘경계’로 상향해 대응태세를 강화했다. 산림청과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24시간 비상근무체제로 전환하고, 현장감시와 집중 단속에 나선다.
광주시 산불방지대책본부 관계자는 “최근 건조한 날씨가 이어져 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확산될 수 있다”며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 농업부산물 및 쓰레기 소각 등 불법 소각행위 단속을 강화하고, 적발시 엄중 처벌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천홍희 기자 stro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