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해법안 국민서명, 이틀만에 2만 5000명 동참
![]() 지난 11일 광주시 동구 충장우체국 앞에서 광주·전남 23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광주전남역사정의평화행동’이 일제강제동원 정부 해법안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내는 기자회견을 열고 서명운동을 진행했다. <(사)일제강제동원 시민모임 제공> |
일제강제동원 정부 해법안에 반대하는 10만 명 국민서명이 시작된지 이틀만에 2만 5000명이 넘는 국민이 서명에 동참했다. 광주에서도 오프라인 서명이 진행된 지 한시간만에 349명이 정부의 해법안을 무효로 해야 한다고 서명했다.
(사)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시민모임)을 비롯한 618개 단체가 함께하는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전국적인 ‘정부 강제동원 해법 무효! 범국민 서명운동’에 돌입했다고 12일 밝혔다.
이에 시민모임 등 광주·전남 23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광주전남역사정의평화행동’도 지난 11일 광주시 동구 충장우체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시간 동안 거리 서명 운동을 진행했다.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번 서명운동은 ‘윤석열 정부 강제동원 해법 무효’를 내세우며 10만 명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국에서 진행된 오프라인 서명이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이미 온라인에서만 목표치의 4분의 1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오는 16일 예정돼 있는 한일정상회담 이후에도 매주 토요일 범국민 규탄대회를 열고 국민적 공분을 모은다는 게 시민모임 측의 설명이다.
광주에서는 오는 25일 오후 3시 동구 충장우체국에서 제2차 오프라인 서명운동이 예정돼 있다.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은 “일본이 사죄하고 배상해야 할 책임을 피해국이 뒤집어 쓰고 아무 것도 얻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 해법안에 대해 국민적 반감이 심상치 않다. 분노한 민심이 이번 범국민 서명운동으로 표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이 제안한 국회 외교통상위원회 전체회의가 13일 진행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일제강제동원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는 참고인으로 참석하기 위해 시민모임과 함께 12일 상경했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사)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시민모임)을 비롯한 618개 단체가 함께하는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전국적인 ‘정부 강제동원 해법 무효! 범국민 서명운동’에 돌입했다고 12일 밝혔다.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번 서명운동은 ‘윤석열 정부 강제동원 해법 무효’를 내세우며 10만 명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국에서 진행된 오프라인 서명이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이미 온라인에서만 목표치의 4분의 1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에서는 오는 25일 오후 3시 동구 충장우체국에서 제2차 오프라인 서명운동이 예정돼 있다.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은 “일본이 사죄하고 배상해야 할 책임을 피해국이 뒤집어 쓰고 아무 것도 얻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 해법안에 대해 국민적 반감이 심상치 않다. 분노한 민심이 이번 범국민 서명운동으로 표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이 제안한 국회 외교통상위원회 전체회의가 13일 진행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일제강제동원 피해자인 양금덕 할머니는 참고인으로 참석하기 위해 시민모임과 함께 12일 상경했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