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체포동의안 27일 표결…압도적 부결에 관심
여론전 나선 국힘·민주 날선 공방
비명계 이탈표 규모도 주목
동의안 부결 후 여론 향배 촉각
당 지지율 하락땐 사퇴 압박일 듯
비명계 이탈표 규모도 주목
동의안 부결 후 여론 향배 촉각
당 지지율 하락땐 사퇴 압박일 듯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사진>에 대한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을 하루 앞둔 26일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날선 신경전을 이어갔다. 여야는 투표동의안 표결 결과가 향후 정국을 뒤흔들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한 표라도 더 얻기 위한 적극적인 여론전에 나섰다.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민주당은 당론 없는 ‘자율 투표’라 말하지만, 표 단속에 급급한 모습이 구차하다”며 “셀프변명, 셀프방탄이 오히려 쫄린 마음을 보여주는 듯해 역겹기까지 하다”고 맹공을 퍼부었다. 장동혁 원내대변인도 “내일은 이재명 대표가 아니라 민주당의 운명이 걸린 날”이라며 “만약 체포동의안이 부결된다면 역사는 누가 불의에 눈을 감았는지를 똑똑히 기록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이에 민주당 조정식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검사 독재 정권의 야만과 사법 사냥에 단호히 맞서 검찰의 정치 영장을 압도적으로 부결시키겠다”고 맞섰다. 그는 이어 “검사 독재는 박정희·전두환 군사독재보다 더 악랄한 ‘신(新)독재’”라고 비판했다.
김성환 정책위의장도 쌍방울 그룹 대북 송금 사건과 관련, “대장동 사건의 핵심에 검사 집단, 50억 클럽이 있음에도 이 대표에게 혐의를 뒤집어 씌우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삼류 소설보다 못한 사건 조작을 계속하고 있다”고 거들었다.
정치권에선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 이탈 표 규모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민주당 의석수(167석)를 감안하면 부결은 거의 확실하다는 것이다. 민주당 분위기도 부결로 결집하는 흐름이다. 문제는 이탈 표의 규모다.
이탈 표가 5표 이내라면 이 대표의 당내 리더십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탈표가 많아야 2~3표 정도에 그칠 것”이라며 압도적 부결을 자신하고 있다. 하지만 이탈 표가 노웅래 의원의 체포동의안 부결(161표)때 보다 많은 6표 이상이 되면 이 대표의 정치적 리더십은 크게 흔들릴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체포동의안이 부결된다 해도 이 대표가 넘어야 할 산은 많다. 당내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이 대표의 정치적 결단을 거론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검찰이 쪼개기 영장 청구에 나선다면 민주당이 감당하기 벅차다는 것이다. 당장, 이 대표는 다음달 3일 선거법 위반 혐의로 법정에 서야 한다. 이 대표는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2021년 12월22일 방송 인터뷰 등에서 고(故)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이하 공사) 개발1처장에 대해 “시장 재직 때는 알지 못했다”고 말해 허위 사실을 공표한 혐의를 받고 있다.
물론 이 대표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검찰의 쪼개기 영장 청구와 관련, “오랑캐가 불법적 침략을 계속하면 열심히 싸워서 격퇴해야 한다”며 사퇴 가능성을 일축했지만 ‘체포동의안 정국’이 장기화될수록 정치적 부담감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친명과 비명 간의 내홍은 물론 친명 내부의 단일대오가 흔들릴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국민의힘에 밀리는 민주당 지지율도 이 대표의 거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가 민주당 지지율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당내 기류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체포동의안 부결 이후에도 민주당의 지지율이 반등하지 않고 오히려 하락한다면 이 대표의 정치적 입지는 크게 위축될 전망이다.
차기 총선을 앞두고 마련해야 할 당내 경선 룰 정비와 당원평가가 포함되는 당무감사도 화약고다. 민주당 정당 혁신위는 현역 국회의원 평가에서 기존의 하위 20%에, 20%의 감점을 주는 규정을 10%씩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 경선 다자구도시 결선투표제 도입, 하위 30% 의원 명단 공개 문제 등도 폭발성이 크다. 또 현역 국회의원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당무감사에 당원평가를 도입하는 문제도 비명계 의원들의 신경을 곤두세우게 하고 있다.
특히, 친명계 일각에서는 사법리스크 출구 전략과 관련, 공천 개혁 카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내 혁신을 고리로 이 대표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정면돌파론이다. 하지만, 이는 비명계의 강력한 반발을 일으킬 수 있어 현실화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 대표도 최근 비명계 의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내년 총선 공천과 관련, 무리한 전략공천이나 혁신 공천보다는 기존의 시스템 공천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 관계자는 “27일 체포동의안이 부결되더라도 검찰의 쪼개기 영장 청구 가능성 등 이 대표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은 만만치 않다”며 “체포동의안 표결시 이탈표 규모 및 민주당 지지율의 향배 등은 이 대표의 정치적 거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민주당은 당론 없는 ‘자율 투표’라 말하지만, 표 단속에 급급한 모습이 구차하다”며 “셀프변명, 셀프방탄이 오히려 쫄린 마음을 보여주는 듯해 역겹기까지 하다”고 맹공을 퍼부었다. 장동혁 원내대변인도 “내일은 이재명 대표가 아니라 민주당의 운명이 걸린 날”이라며 “만약 체포동의안이 부결된다면 역사는 누가 불의에 눈을 감았는지를 똑똑히 기록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정치권에선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 이탈 표 규모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민주당 의석수(167석)를 감안하면 부결은 거의 확실하다는 것이다. 민주당 분위기도 부결로 결집하는 흐름이다. 문제는 이탈 표의 규모다.
이탈 표가 5표 이내라면 이 대표의 당내 리더십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탈표가 많아야 2~3표 정도에 그칠 것”이라며 압도적 부결을 자신하고 있다. 하지만 이탈 표가 노웅래 의원의 체포동의안 부결(161표)때 보다 많은 6표 이상이 되면 이 대표의 정치적 리더십은 크게 흔들릴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체포동의안이 부결된다 해도 이 대표가 넘어야 할 산은 많다. 당내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이 대표의 정치적 결단을 거론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검찰이 쪼개기 영장 청구에 나선다면 민주당이 감당하기 벅차다는 것이다. 당장, 이 대표는 다음달 3일 선거법 위반 혐의로 법정에 서야 한다. 이 대표는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2021년 12월22일 방송 인터뷰 등에서 고(故)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이하 공사) 개발1처장에 대해 “시장 재직 때는 알지 못했다”고 말해 허위 사실을 공표한 혐의를 받고 있다.
물론 이 대표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검찰의 쪼개기 영장 청구와 관련, “오랑캐가 불법적 침략을 계속하면 열심히 싸워서 격퇴해야 한다”며 사퇴 가능성을 일축했지만 ‘체포동의안 정국’이 장기화될수록 정치적 부담감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친명과 비명 간의 내홍은 물론 친명 내부의 단일대오가 흔들릴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국민의힘에 밀리는 민주당 지지율도 이 대표의 거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재명 대표 사법리스크가 민주당 지지율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당내 기류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체포동의안 부결 이후에도 민주당의 지지율이 반등하지 않고 오히려 하락한다면 이 대표의 정치적 입지는 크게 위축될 전망이다.
차기 총선을 앞두고 마련해야 할 당내 경선 룰 정비와 당원평가가 포함되는 당무감사도 화약고다. 민주당 정당 혁신위는 현역 국회의원 평가에서 기존의 하위 20%에, 20%의 감점을 주는 규정을 10%씩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 경선 다자구도시 결선투표제 도입, 하위 30% 의원 명단 공개 문제 등도 폭발성이 크다. 또 현역 국회의원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당무감사에 당원평가를 도입하는 문제도 비명계 의원들의 신경을 곤두세우게 하고 있다.
특히, 친명계 일각에서는 사법리스크 출구 전략과 관련, 공천 개혁 카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내 혁신을 고리로 이 대표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정면돌파론이다. 하지만, 이는 비명계의 강력한 반발을 일으킬 수 있어 현실화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 대표도 최근 비명계 의원들을 만난 자리에서 내년 총선 공천과 관련, 무리한 전략공천이나 혁신 공천보다는 기존의 시스템 공천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 관계자는 “27일 체포동의안이 부결되더라도 검찰의 쪼개기 영장 청구 가능성 등 이 대표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은 만만치 않다”며 “체포동의안 표결시 이탈표 규모 및 민주당 지지율의 향배 등은 이 대표의 정치적 거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