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묘년 -토끼 이야기] 영리하고 지혜로운 ‘검은 토끼’처럼 도약하는 한해 되길
다산의 상징…번창·풍요 등 의미
2023년 01월 01일(일) 20:35
그림=김해성 ▲조선대 미술대학 및 동대학원을 졸업 ▲광주시립미술관 북경창작레지던시 프로그램 1기 ▲조선대학교 평생교육원 전담교수 ▲개인전 24회 ▲그룹전 600여회 참여
2023년 계묘년(癸卯年) 떠오르는 해와 함께 육십간지의 40번째인 ‘검은 토끼의 해’를 맞이했다.

토끼는 긴 귀에 짧은 꼬리를 가졌으며 뒷다리는 앞다리보다 훨씬 길다. 이 때문에 차는 힘이 더해져 ‘껑충껑충’ 잘 뛸 수 있다. 평균 수명은 5년~13년이다. 예로부터 순하고 귀여운 이미지로 알려진 토끼는 영리한 동물이다. 한번에 4~12마리의 새끼를 낳기 때문에 ‘다산(多産)’의 상징이기도 하다. 성장과 성숙, 번창과 풍요 등의 의미를 가진 동물로 십이지 동물에도 속한다.

오랫동안 인간과 함께해 온 토끼는 우리나라는 물론, 동·서양의 각종 역사 속 유물과 설화 속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김유신 장군의 무덤에서 출토된 십이지신상 중에는 토끼 조각이 발견됐다. 또 ‘고구려 고분벽화’, ‘통일신라시대 수막새’, ‘고려 수월관음도’ 등에도 토끼가 함께한다. 소설 ‘토끼전’과 ‘별주부전’에서도 위기마다 기지를 발휘해 재치있게 상황을 모면하는 토끼의 기민함이 잘 담겨있다.

토끼에게 달을 맡긴 뒤 그곳에서 불로장생을 위한 약을 만들라고 명한 서황제의 이야기, 토끼가 계수나무 밑에서 떡방아를 찧는다는 옥토끼 설화,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동요 ‘반달’까지 다양하다.

‘지혜롭게 준비해 어려운 일을 면한다’는 뜻을 가진 교토삼굴( 狡兎三窟 )은 토끼의 기민함과 영특함을 보여준다. 토끼는 땅을 팔 때 3개의 구멍을 만드는데 1개가 막히면 나머지 두 곳으로 빠져나갈 통로를 만들어 놓는 것이다. 토끼의 영민함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나무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인 ‘수주대토(守株待兎)’는 노력하지 않고 요행으로 일이 성취되길 바라는 경우를 빗대 쓰인다

이 외에도 토끼 사냥이 끝나고 쓸모 없어진 사냥개를 잡아먹는다는 뜻의 ‘토사구팽(兎死狗烹)’, 여우가 죽으니 토끼가 슬퍼한다는 뜻의 ‘호사토비(狐死兎悲)’등이 있다. 달 속 계수나무는 죽지 않는 나무로 토끼와 계수나무는 장수를 의미하기도 한다.

‘별주부전’에서 기지를 발휘했던, 작고 여리지만 날쌔고 영민한 토끼처럼 슬기롭게 한 해를 해쳐나가길 바래본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672572900747245007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3일 21:4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