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생활지원금 미수령가구 전수조사
市, 연락 두절 등 119가구 안부 확인 등 맞춤 서비스
![]() |
광주시가 생활지원금 미수령 가구를 대상으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20일 광주시에 따르면 올해 저소득층 한시 긴급생활지원금을 수령 하지 않은 600가구를 점검한 결과, 사망과 장기입원, 교정시설 수감 등 불가피한 이유로 연락이 닿지 않거나 본인이 상담을 거부한 119가구를 확인하고 지난 10월부터 2개월간 전수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광주시는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75가구를 찾아내 기초생활보장·긴급복지지원·민간서비스 지원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연락이 닿지 않은 36가구에 대해서는 중앙부처에 통보해 사실조사를 한 뒤 추후 조치에 나서기로 했다.
이번 조사는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 ‘찾아가는 보건복지팀’의 방문상담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상담 거부자와 장기 부재자 등 8가구에 대해서는 동 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주변인의 협조를 받아 지속적으로 안부를 확인하고 복지 상담을 이어가기로 했다.
또 주소지에 거주하지 않아 대면상담을 하지 못한 36가구는 주민등록지-실거주지 불일치 취약계층 조사명단으로 중앙부처에 통보하고, 추후 실거주지 정보 등 사실조사 결과를 공유 받아 위기가구 대상자에 대한 복지 지원을 추가 검토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이와 함께 조사 대상자의 사후 관리와 함께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과 위기가구 발굴단, 동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등을 활성화해 겨울철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광주시는 올 들어 10월 말까지 각 동별로 구성된 위기가구 발굴단(5026명)에서 발굴·신고한 803가구에 대해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사례관리 등 공적 서비스와 민간 후원 연계, 집수리 등 민간 서비스를 1323건 지원한 바 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20일 광주시에 따르면 올해 저소득층 한시 긴급생활지원금을 수령 하지 않은 600가구를 점검한 결과, 사망과 장기입원, 교정시설 수감 등 불가피한 이유로 연락이 닿지 않거나 본인이 상담을 거부한 119가구를 확인하고 지난 10월부터 2개월간 전수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 ‘찾아가는 보건복지팀’의 방문상담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상담 거부자와 장기 부재자 등 8가구에 대해서는 동 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주변인의 협조를 받아 지속적으로 안부를 확인하고 복지 상담을 이어가기로 했다.
또 주소지에 거주하지 않아 대면상담을 하지 못한 36가구는 주민등록지-실거주지 불일치 취약계층 조사명단으로 중앙부처에 통보하고, 추후 실거주지 정보 등 사실조사 결과를 공유 받아 위기가구 대상자에 대한 복지 지원을 추가 검토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올 들어 10월 말까지 각 동별로 구성된 위기가구 발굴단(5026명)에서 발굴·신고한 803가구에 대해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사례관리 등 공적 서비스와 민간 후원 연계, 집수리 등 민간 서비스를 1323건 지원한 바 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