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2023년 어르신 일자리 2만8240개 마련
공익활동·사회서비스·시장형 등
12~23일 참여자 모집
12~23일 참여자 모집
![]() |
광주시가 3만개에 육박하는 어르신 일자리를 확보하고 참여자 모집에 나선다.
광주시는 “12일부터 23일까지 ‘2023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2만8240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2023년 노인일자리사업에 102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며, 5개 자치구와 5개 시니어클럽 등 59개 일자리 수행기관에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당초 윤석열 정부의 노인일자리 사업 축소 방침으로 2580여 명의 모집인원을 감소해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광주시는 자체 지방비 86억원을 추가 부담해 올해 수준으로 참여자를 모집하기로 결정했다.
모집 인원은 ▲노노케어 등 공익형 사업 2만2806명 ▲보육시설보조 등 사회서비스형 사업 2386명 ▲매장운영 등 시장형 사업 1961명 ▲민간업체 취업알선형 사업 1087명이다.
특히 내년에는 사회서비스형과 시장형 일자리에서 신규 사업이 늘어나고, 참여 노인의 경력과 활동 역량을 활용하는 서비스도 많아진다.
모집 대상은 공익형의 경우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 사회서비스형은 만 65세 이상(일부 만 60세 이상), 시장형과 취업알선형은 만 60세 이상 광주시 거주 어르신 등이다.
단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생계급여 수급자,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자, 다른 부처 일자리 사업 참여자 등은 제외된다.
참여 희망자는 12일부터 23일까지 주민등록등본, 코로나19 백신접종증명서 등 관련 서류를 준비해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나 각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을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노인일자리 여기’ 또는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다.
공익활동 참여자는 월 30시간(일일 3시간 이내) 활동하고, 활동비 27만원을 지급받는다. 사회서비스형은 월 60시간 근무에 71만원의 임금을 지급받는다. 시장형·취업알선형 사업 참여자는 근로계약에 따라 급여가 별도 책정된다.
참여자는 소득수준과 활동역량, 경력 등 보건복지부가 제공한 기준에 따라 고득점자순으로 선정하며, 접수 기관에서 내년 1월 6일까지 개별 통보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노인일자리사업은 어르신의 소득증대와 활기찬 노후 생활에 직결되는 만큼 내년에도 올해 규모를 유지했다”며 “우리 사회를 지탱하고 이끌어온 어르신들의 보람 있고 든든한 노후를 위해 일자리 창출 방안을 마련하는데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광주시는 “12일부터 23일까지 ‘2023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2만8240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2023년 노인일자리사업에 102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며, 5개 자치구와 5개 시니어클럽 등 59개 일자리 수행기관에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모집 인원은 ▲노노케어 등 공익형 사업 2만2806명 ▲보육시설보조 등 사회서비스형 사업 2386명 ▲매장운영 등 시장형 사업 1961명 ▲민간업체 취업알선형 사업 1087명이다.
특히 내년에는 사회서비스형과 시장형 일자리에서 신규 사업이 늘어나고, 참여 노인의 경력과 활동 역량을 활용하는 서비스도 많아진다.
단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생계급여 수급자,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자, 다른 부처 일자리 사업 참여자 등은 제외된다.
참여 희망자는 12일부터 23일까지 주민등록등본, 코로나19 백신접종증명서 등 관련 서류를 준비해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나 각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을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노인일자리 여기’ 또는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다.
공익활동 참여자는 월 30시간(일일 3시간 이내) 활동하고, 활동비 27만원을 지급받는다. 사회서비스형은 월 60시간 근무에 71만원의 임금을 지급받는다. 시장형·취업알선형 사업 참여자는 근로계약에 따라 급여가 별도 책정된다.
참여자는 소득수준과 활동역량, 경력 등 보건복지부가 제공한 기준에 따라 고득점자순으로 선정하며, 접수 기관에서 내년 1월 6일까지 개별 통보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노인일자리사업은 어르신의 소득증대와 활기찬 노후 생활에 직결되는 만큼 내년에도 올해 규모를 유지했다”며 “우리 사회를 지탱하고 이끌어온 어르신들의 보람 있고 든든한 노후를 위해 일자리 창출 방안을 마련하는데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