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끝나자…여야, 당권 경쟁 본격화
국힘 친윤·윤핵관, 국정운영 뒷받침 내세워 이준석 비판
민주, 선거 패배 책임론 싸고 친문-친명 수싸움 치열
2022년 06월 07일(화) 19:00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마친 뒤 나오면서 취재진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6·1 지방선거 이후 여야의 당권 경쟁도 본격화 하고 있다. 국민의힘 내 친윤(친윤석열) 그룹에서도 당권 경쟁에 시동을 거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고, 지방선거 참패 후 극심한 내홍을 겪는 더불어민주당의 계파 간 주도권 싸움도 사실상 시작됐다.

특히 국민의힘 친윤 그룹은 공통으로 집권 초반 ‘윤석열 정부의 안정적인 국정 운영 뒷받침’을 내세워 윤석열 대통령과 긴밀하게 소통할 수 있는 인사들이 당의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논리를 만들어가고 있다.

최근 이준석 대표의 행보를 둘러싸고 ‘자기 정치를 한다’는 공개 비판이 친윤 그룹에서 잇따라 터져 나온 것도 이런 흐름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당내 최다선으로 친윤 그룹의 ‘맏형’ 격인 정진석 의원이 6일 이 대표의 우크라이나 행과 당 혁신위원회 출범을 통한 공천 개혁 추진 등을 “자기 정치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면 보통 문제가 아니다”라고 작심 비판하며 포문을 열었다.

정 의원은 대선과 지방선거 ‘연승 행진’을 윤석열 대통령의 공으로 돌리며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에게 큰 빚을 졌다. 국민의힘이 그 빚을 갚는 길은 여당으로서 굳건하게 윤석열 정부를 뒷받침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서는 차기 당권 주자로 분류되는 정 의원이 친윤 그룹을 대표해 목소리를 내는 역할을 맡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며 선제적인 움직임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인 권성동 원내대표도 전날 국회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이 대표에 대해 ‘쓴소리’를 하면서 ‘당정 간 긴밀한 협의’를 강조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 대표의 우크라이나 방문에 대해 “시기나 형식에 대해 여러 논란이 있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고 했고, ‘이준석 혁신위’에 대해서도 “인적 구성과 아이템(의제) 등에 대해 숙고하는 시간이 필요한데 좀 성급했다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포스트 지방선거 국면에서 여당의 행보에 대해 ‘투톱’ 간 인식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굳이 감추지 않고 드러낸 것이다.

민주당의 당권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총괄선대위원장으로 선거를 이끌면서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이재명 상임고문이 7일 국회로 첫 등원을 하면서 선거 패배 책임론 등을 둘러싼 친문(친문재인)계와 친명(친이재명)계의 수 싸움이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이 상임고문이 국회 의원회관으로 처음 출근한 이날 정치권의 관심은 자연스레 그의 입에 쏠렸다.

지방선거가 끝난 후 당은 ‘이재명 책임론’을 두고 첨예하게 이해가 엇갈린 계파 간 신경전이 극에 달한 상황이다.

이 상임고문은 그러나 선거 패배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국민과 당원, 지지자 여러분의 의견을 낮은 자세로 겸허하게 듣고 있다”라며 즉답을 피했다.

책임론의 당사자라는 점과 자신의 분명한 입장이 오히려 당내 혼란을 가중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민감한 이슈와는 거리를 두고자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전당대회 출마 여부와 관련해서도 “초선으로서 해야 할 일이 많고, 전당대회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 있다”고만 말했다.

당내에서는 이 상임고문의 당 대표선거 출마에 대해 ‘불가론’과 ‘불가피론’이 맞서는 형국이다.

이 상임고문이 전대에 출마해서는 안 된다는 쪽은 대선과 지선 패배의 당사자인 만큼 당의 수장을 맡는 게 부적절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65459600073949000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4일 16:2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