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군, 레드향·패션프루트 등 7종 아열대작물 신성장동력으로
60개 농가 16㏊ 재배 활발
국립아열대작물실증센터 설립
2022년 02월 21일(월) 19:00
장성군 삼계면에서 농업인 김상일씨가 재배중인 패션프루트를 살펴보고 있다. <장성군 제공>
장성군이 국립아열대작물실증센터 설립에 맞춰 각종 아열대작물을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워고 있다.

장성에서 현재 재배하고 있는 아열대작물은 레드향, 한라봉, 천혜향, 패션프루트, 애플망고, 구아바, 체리 등 총 7종이다. 16㏊ 규모로 60개 농가가 재배에 참여하고 있다.

장성군과 아열대작물 인연은 지난 2016년부터 시작됐다. 기후 온난화에 대응해 기존 농사 시설을 최대한 활용한 아열대작물 재배법을 연구하기 위해 선진지 방문과 교육을 추진했다. 장흥을 시작으로 제주도와 완도 등지를 찾아 패션프루트와 레드향 등 만감류 재배지를 살펴보고 노하우를 익혔다.

이듬해인 2017년 아열대작물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했다. 체리, 구아바를 시작으로 애플망고와 만감류 등이 장성에서 재배됐다. 2019년 남면을 중심으로 재배 중이던 레드향이 첫 수확의 기쁨을 얻었다. 레드향에는 ‘비타민P’가 다량 함유되어 건강에 좋으며 심혈관 질환을 예방한다. 최근 고소득 작물로 정착해 명절 선물로 각광받고 있다.

2020년에는 국비 350억원 규모 농촌진흥청 국립아열대작물실증센터를 유치하는 쾌거를 거뒀다.

장성군은 사과와 포도의 남방한계선과 단감의 북방한계선이 공존해 아열대성 기후변화 연구에 최적지다. 태풍, 호우, 지진 등 자연재해가 적고, 중부지방과 전남을 잇는 관문으로 KTX와 고속도로 등 우수한 교통여건을 갖춰 인근 농업 관련 연구기관과 원활한 협업 및 연구가 가능하다.

미래 농업의 전초기지인 국립아열대작물실증센터가 장성에 완공되면 신성장동력 확보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끄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신 재배 기술 보급도 이뤄져 아열대작물 재배 분야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장성미래농업대학에 전국 최초 ‘아열대학과’를 신설해 지역 농업인들의 전문성을 높였다.

아열대작물 집중 육성을 위한 공모사업을 추진해 5농가 0.6㏊ 규모로 패션프루트 단지를 조성했다. 최근 0.5㏊ 규모가 추가 공모에 선정돼 올해 총 1.1㏊ 규모로 패션프루트를 재배할 계획이다.

신소득 체리단지(2.5㏊·9농가·도비 3억4000만원)도 조성을 마쳤으며 올해는 신소득 원예특화단지 조성 공모사업에 ‘레몬’을 신청할 예정이다.

박언정 장성군 원예소득과장은 “2016년부터 이어온 기후변화 대응 아열대작물 재배 노력이 국립아열대작물실증센터 유치와 잇따른 공모 선정, 신소득 작물의 안착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성공적인 아열대작물 육성으로 농가소득을 높여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장성=김용호 기자 yongho@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645437600733969151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0일 03:0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