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장도 없이 아시아문화도시 활성화 되겠나
광주를 아시아문화중심도시로 육성하는 사업은 참여정부 이후 17년째 추진되고 있지만 문화전당 건립 외에는 별다른 진전이 없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사업 실무를 총괄하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이하 추진단) 단장을 문화체육관광부 과장이 겸직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문화계가 반발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특별법 개정안 시행에 따른 후속 조치로 문체부 지역문화정책과장에게 추진단 단장을 겸직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 문체부 관계자는 광주일보와의 통화에서 “겸직 방침은 문화전당 직제 개편으로 정원이 확대되고 과장 자리가 늘어남에 따라 총량 관리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안다”며 “문화전당 역할 강화에 우선순위를 둔 조치로 추진단 조직 자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 정상화 시민연대’는 그제 입장문을 통해 “정부의 겸직 방침은 개정된 특별법 개정안 취지에도 반하는 것으로, 문화전당을 제외한 나머지 조성사업 역점 과제의 포기 선언이나 마찬가지”라고 규탄했다. 이 같은 반발은 추진단이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총괄하는 사령탑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과거 이명박·박근혜 정부 등 보수정권 시절에는 추진단이 축소되거나 미니 부서로 전락하면서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이런 까닭에 지역사회는 추진단의 위상 강화를 줄곧 요청해 왔다. 한데 문체부 과장이 추진단장을 겸직하게 되면 위상 강화는 고사하고 문화도시 사업에도 차질을 빚게 된다.
문화중심도시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려면 5대 문화권과 연계한 문화도시 기반 조성에 박차를 가해 문화전당 효과를 광주 전역으로 확산시켜야 한다. 추진단은 이를 추동하는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 정부는 현재의 추진단장 체제를 유지하고 나아가 위상 강화를 통해 부처 간 협력까지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 정상화 시민연대’는 그제 입장문을 통해 “정부의 겸직 방침은 개정된 특별법 개정안 취지에도 반하는 것으로, 문화전당을 제외한 나머지 조성사업 역점 과제의 포기 선언이나 마찬가지”라고 규탄했다. 이 같은 반발은 추진단이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총괄하는 사령탑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화중심도시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려면 5대 문화권과 연계한 문화도시 기반 조성에 박차를 가해 문화전당 효과를 광주 전역으로 확산시켜야 한다. 추진단은 이를 추동하는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 정부는 현재의 추진단장 체제를 유지하고 나아가 위상 강화를 통해 부처 간 협력까지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