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진압군 ‘암매장 사체처리반’ 요원들 인적사항 확보
진상조사위, 특전사·보안사 운용 확인 … 진술 거부땐 검찰에 고발
희생자들 광주 아닌 타 지역서 비밀리 화장 처리했을 가능성 주목
보안사 존안자료도 확보 나서
희생자들 광주 아닌 타 지역서 비밀리 화장 처리했을 가능성 주목
보안사 존안자료도 확보 나서
![]() 송선태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위원장이 1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조사위원회(이하 진상조사위)가 출범 1년이 지나도록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가운데 80년 5월 이후 특전사와 보안사가 암매장 ‘사체처리반’을 운용한 것을 확인하고 진상 조사에 나서 주목된다. 또 진상조사위는 군사안보지원사령부(80년 당시 보안사)에 당시의 존안자료가 있는 것을 확인, 자료 확보에 나섰다.
17일 진상조사위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5·18 희생자 암매장 진상 조사 과정에서 특전사와 보안사가 80년 당시 가매장됐던 희생자들을 따로 처리하는 ‘사체처리반’을 운용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관계자는 이날 광주일보와 만나 보안사 사체처리반 요원들에 대한 인적 사항을 이미 확보한 상황이며 특전사의 경우, 과거 검찰 조사 결과 등을 통해 사체 처리반을 운용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보안사 사체처리반 요원들은 가매장을 했던 당시 진압군 등을 상대로 현장을 확인하고 사체를 다른 곳으로 이동, 처리하지 않았느냐는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가매장 했던 진압군을 찾아 “보고했던 사체 수가 맞지 않는다”는 등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상조사위는 사체처리반 요원들에 대해 진상을 밝힐 것을 적극 설득하는 한편, 협조하지 않는다면 조사위에 부여된 압수수색, 동행 명령 등의 권한을 행사하는 것은 물론 검찰에 고발한다는 방침이다.
진상조사위 일각에서는 사체처리반이 암매장된 희생자들을 광주가 아닌 타 지역에서 비밀리에 화장 처리했을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그동안 발굴했던 암매장 추정지에서 희생자들의 유골이 나오지 않은 것도 이같은 요인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진상조사위 관계자는 “정부가 인정한 5·18 행방불명자가 84명에 이르고 신고된 인원은 448명에 이른다”며 “행불자의 상당수가 보안사와 특전사의 사체처리반이 처리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진상조사위는 군사안보지원사령부 내에 80년 당시 존안 자료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고 자료 확보에 나섰으며 국가정보원에는 존안자료를 넘겨줄 것을 요구하기로 했다. 80년 당시 보안사와 중앙정보부의 존안자료가 확보되면 당시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조명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80년 당시 계엄군으로부터 8단계 암매장 좌표를 보고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도 아직까지 정확한 암매장지를 특정짓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조사위 관계자는 “철저한 조사를 통해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고 있다”고 밝혔다. 섣불리 발굴에 나섰다가 지난해처럼 별다른 결과를 내지 못할 경우, 상당한 후폭풍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조사위는 5·18 민주화운동 41주기를 앞두고 민간인 학살과 암매장, 계엄군 성폭행 등은 물론 최초 발포와 집단 발포에 대한 보다 진전된 진상 조사 결과를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
이 관계자는 이날 광주일보와 만나 보안사 사체처리반 요원들에 대한 인적 사항을 이미 확보한 상황이며 특전사의 경우, 과거 검찰 조사 결과 등을 통해 사체 처리반을 운용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보안사 사체처리반 요원들은 가매장을 했던 당시 진압군 등을 상대로 현장을 확인하고 사체를 다른 곳으로 이동, 처리하지 않았느냐는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가매장 했던 진압군을 찾아 “보고했던 사체 수가 맞지 않는다”는 등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상조사위 일각에서는 사체처리반이 암매장된 희생자들을 광주가 아닌 타 지역에서 비밀리에 화장 처리했을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그동안 발굴했던 암매장 추정지에서 희생자들의 유골이 나오지 않은 것도 이같은 요인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진상조사위 관계자는 “정부가 인정한 5·18 행방불명자가 84명에 이르고 신고된 인원은 448명에 이른다”며 “행불자의 상당수가 보안사와 특전사의 사체처리반이 처리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진상조사위는 군사안보지원사령부 내에 80년 당시 존안 자료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고 자료 확보에 나섰으며 국가정보원에는 존안자료를 넘겨줄 것을 요구하기로 했다. 80년 당시 보안사와 중앙정보부의 존안자료가 확보되면 당시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조명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80년 당시 계엄군으로부터 8단계 암매장 좌표를 보고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도 아직까지 정확한 암매장지를 특정짓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조사위 관계자는 “철저한 조사를 통해 신중에 신중을 거듭하고 있다”고 밝혔다. 섣불리 발굴에 나섰다가 지난해처럼 별다른 결과를 내지 못할 경우, 상당한 후폭풍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조사위는 5·18 민주화운동 41주기를 앞두고 민간인 학살과 암매장, 계엄군 성폭행 등은 물론 최초 발포와 집단 발포에 대한 보다 진전된 진상 조사 결과를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