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가 평균 권리금 4276만원…2015년 이후 최저
경기 침체·온라인 쇼핑 이용자 상승에 권리금 해마다 감소
2020년 02월 28일(금) 00:00
상가 권리금이 해마다 감소하는 등 내수경기 침체와 온라인쇼핑몰 이용자 증가로 상가시장이 위축되는 분위기다.

27일 수익형 부동산 연구개발기업 상가정보연구소가 한국감정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상가의 평균 권리금은 4276만원, ㎡당 평균 권리금은 63만3000원으로 조사됐다. 권리금은 상가의 경쟁력과 가치를 확인하는 하나의 지표다.

지난해 상가 평균 권리금은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5년 이후 4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연도별 상가 평균 권리금은 2015년 4574만원, 2016년 4661만원, 2017년 4777만원, 2018년 4535만원 등이었다.

서울을 포함한 지방 6개 광역시에서 권리금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5130만원)이었으며, 인천(3893만원), 부산(3760만원), 광주(3705만원), 대전(3497만원), 대구(3279만원), 울산(2140만원) 등 순이었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불안감이 더해지며 상가 시장 불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내수 경기 침체 지속과 오프라인 점포 매출 감소로 권리금 하락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지난해 업종별 상가 권리금이 가장 높은 업종은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5337만원)이었으며 숙박·음식점(4788만원), 도·소매(4464만원), 부동산·임대업(3009만원), 협회·단체·수리·개인서비스업(248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582815600690321278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0일 02:3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