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추인 거부…호남기반 3당 합당 좌초 위기
孫 “구태 회귀 안된다” 비토
바른미래·대안신당·평화당
3당 의원 교섭단체 우선 구성
바른미래·대안신당·평화당
3당 의원 교섭단체 우선 구성
![]()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공동교섭단체 합동 의원총회에서 바른미래당, 대안신당, 민주평화당 소속 의원들이 손을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의 비토에 17일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의 통합이 불발됐다. 이에 따라 3당 의원들은 일단 공동교섭단체를 구성, 통합 행보에 나서는 한편 2월 임시국회에서의 선거구 획정 논의에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또 바른미래당 의원들은 18일 의총을 열어 탈당을 원하는 비례대표 의원들의 제명에 나서기로 하는 등 손 대표에 대한 최후 압박에 나섰다.
손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호남 신당의 창당은 결코 새로운 일이 될 수 없다”며 “선거 편의를 위한 지역주의는 우리의 선택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손 대표는 최고위 후 기자들과 만나서는 “합의문 추인은 신중한 문제이고, 폭넓은 국민·당원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는 판단하에 오늘 최고위에서의 심사를 보류했다”고 설명했다.
손 대표는 ‘보류’라는 표현을 사용했지만, ‘민주통합당’ 당명으로 이날까지 합당키로 한 사흘전 3당 간 합의를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풀이된다. 손 대표는 통합 합의문에 현 대표 3인으로 구성되는 공동 지도부의 임기를 오는 28일까지로 하는 조항을 당헌 부칙에 담는다는 내용을 명시한데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손 대표가 3당 통합을 먼저 제안했다는 점에서 이날 합의 추인 거부는 자신의 대표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몽니’이자 ‘노욕’이라는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손 대표의 통합 합의 추인 거부로 3당 간 통합 협의도 재논의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에 이은 ‘원내 3당’을 만들어 4·15 총선에서 ‘기호 3번’을 확보하려던 3당의 구상도 실현이 불투명해졌다.
이에 따라 바른미래당, 대안신당, 민주평화당 등 호남을 기반으로 한 3당 소속 의원 21명은 이날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3당 의원들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합의원총회에서 이같이 의결하고 교섭단체 명칭은 ‘민주 통합 의원 모임’으로 정했다고 장정숙 의원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교섭단체 원내대표는 3당 통합 협상에 참여해온 대안신당 유성엽 통합추진위원장이, 원내수석부대표는 장정숙 의원이 각각 맡기로 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3당 통합을 추동하고,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적대적 공생관계에 따른 국회의 방만한 운영을 견제하기 위해 교섭단체 구성을 의결했다”며 “임시국회에서 민생·공정·정의·개혁을 위한 법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섭단체에 이름은 올린 의원들은 바른미래당 박주선·김동철·주승용·임재훈·채이배·최도자·이상돈 의원, 대안신당 최경환·천정배·박지원·장병완·유성엽·윤영일·김종회·장정숙 의원, 평화당 정동영·조배숙·황주홍·김광수·박주현 의원, 무소속 이용주 의원 등이다.
장정숙 의원은 “당적이 정리돼야 하는 부분이 있다”며 “바른미래당 소속 비례대표 의원들의 ‘셀프 제명’에 대한 의원총회가 내일 있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바른미래당 의석수는 17석이며 이 가운데 비례대표는 13명이다. 바른미래당 소속 의원들은 제명을 원하는 안철수계 비례의원 5명에 더해 추가 제명을 요구하는 의원이 있으면 모두 절차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친(親) 손학규’ 의원이 전무한 상황에서 의원총회에서의 비례대표 제명은 큰 걸림돌이 없을 전망이며 이같은 상황이 현실화 된다면 바른미래당은 의원 한 명 없는 원외 정당으로 전락할 전망이다.
반면, 손 대표 측은 “당헌·당규에 적시된 윤리위원회 징계 절차를 밟지 않는다면 셀프 제명은 무효가 될 것”이라며 “결코 그들 의도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런 가운데 통합 추진 진영 일각에서는 손 대표를 끝까지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성엽 의원은 “막전막후에서 긴밀한 대화가 펼쳐지고 있다”며 “내일(18일) 아침은 되어야 (손 대표 거취)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손 대표는 ‘보류’라는 표현을 사용했지만, ‘민주통합당’ 당명으로 이날까지 합당키로 한 사흘전 3당 간 합의를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풀이된다. 손 대표는 통합 합의문에 현 대표 3인으로 구성되는 공동 지도부의 임기를 오는 28일까지로 하는 조항을 당헌 부칙에 담는다는 내용을 명시한데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손 대표가 3당 통합을 먼저 제안했다는 점에서 이날 합의 추인 거부는 자신의 대표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몽니’이자 ‘노욕’이라는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다.
이에 따라 바른미래당, 대안신당, 민주평화당 등 호남을 기반으로 한 3당 소속 의원 21명은 이날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3당 의원들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합의원총회에서 이같이 의결하고 교섭단체 명칭은 ‘민주 통합 의원 모임’으로 정했다고 장정숙 의원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교섭단체 원내대표는 3당 통합 협상에 참여해온 대안신당 유성엽 통합추진위원장이, 원내수석부대표는 장정숙 의원이 각각 맡기로 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3당 통합을 추동하고,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적대적 공생관계에 따른 국회의 방만한 운영을 견제하기 위해 교섭단체 구성을 의결했다”며 “임시국회에서 민생·공정·정의·개혁을 위한 법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섭단체에 이름은 올린 의원들은 바른미래당 박주선·김동철·주승용·임재훈·채이배·최도자·이상돈 의원, 대안신당 최경환·천정배·박지원·장병완·유성엽·윤영일·김종회·장정숙 의원, 평화당 정동영·조배숙·황주홍·김광수·박주현 의원, 무소속 이용주 의원 등이다.
장정숙 의원은 “당적이 정리돼야 하는 부분이 있다”며 “바른미래당 소속 비례대표 의원들의 ‘셀프 제명’에 대한 의원총회가 내일 있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바른미래당 의석수는 17석이며 이 가운데 비례대표는 13명이다. 바른미래당 소속 의원들은 제명을 원하는 안철수계 비례의원 5명에 더해 추가 제명을 요구하는 의원이 있으면 모두 절차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친(親) 손학규’ 의원이 전무한 상황에서 의원총회에서의 비례대표 제명은 큰 걸림돌이 없을 전망이며 이같은 상황이 현실화 된다면 바른미래당은 의원 한 명 없는 원외 정당으로 전락할 전망이다.
반면, 손 대표 측은 “당헌·당규에 적시된 윤리위원회 징계 절차를 밟지 않는다면 셀프 제명은 무효가 될 것”이라며 “결코 그들 의도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런 가운데 통합 추진 진영 일각에서는 손 대표를 끝까지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성엽 의원은 “막전막후에서 긴밀한 대화가 펼쳐지고 있다”며 “내일(18일) 아침은 되어야 (손 대표 거취) 여부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