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체계 개선
시설관리공단으로 업무 일원화
직원 직접고용 안정적 청소행정
2019년 05월 24일(금) 00:00
광주 광산구가 이원화 돼 있었던 쓰레기 수집·운반 체계를 광산구시설관리공단으로 일원화, 안정적인 청소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23일 광산구에 따르면 그동안 광산구시설관리공단과 클린광산사회적협동조합(이하 클린광산, 월곡1·2동과 하남2지구 1만093세대 담당)으로 이원화돼 있던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체계를 공단으로 일원화하고, 협동조합에서 일하던 직원들은 공단에서 직접고용하기로 했다.

광산구의 이번 결정은 지난해 11월 광주시의 종합감사결과에서 문제점을 지적받고 청소행정의 일원화를 추진하는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광산구의 경우 지난 2015년 시설관리공단 출범당시, 클린광산의 설립 취지를 존중해 공단과 통합하지 않고, 1년 단위로 수의계약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시 감사위원회는 클린광산과의 계약연장에 대해 입찰공고 방식이 아닌 수의계약 형태로 추진된 것은 ‘지방계약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광산구는 더 이상 수의계약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올해 6월 30일로 클린광산과 계약이 만료됨에 따라 클린광산 직원의 생존권 보장과 안정적인 청소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한 해법 마련에 나섰다.

사회적 대화로 문제를 풀기 위해 광산구는 지난 2월, 클린광산·시설관리공단·광산구의회와 함께 TF팀을 구성했다. TF팀에서는 클린광산 직원의 생존권을 최우선에 놓고 모든 논의를 진행한다는 전제 아래, 지금까지 네 차례 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TF팀은 공개입찰의 경우 고용승계가 불투명해 실업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그동안 클린광산 직원들이 사회적협동조합에 헌신해온 점을 감안했다. 그 결과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체계 일원화와 직원 공단직접 고용을 최종 해법으로 제시했고, 광산구는 이에 따라 최종 내부 입장을 정리했다.

/최승렬 기자 srchoi@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img.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img.kwangju.co.kr/article.php?aid=1558623600663384277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3일 18:3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