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 대선을 호남 미래 견인차로
![]() 임 동 욱 서울취재본부 부본부장 |
‘장미 대선’을 앞두고 호남 민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야권 주자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가운데 누구를 지지해야 할 것인지 판단 내리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행복한 고민일 수도 있지만 호남의 현실을 감안하면 그리 간단치 않은 문제다. 실제로 호남의 현실은 참담하다. 그렇지 않아도 취약한 산업 기반에 호남 소외를 상징하는 보수 정부 10년이 겹치면서 사실상 경제 생태계가 붕괴된 상태다. 이 지역에서는 삼성전자·기아자동차·삼호중공업 등을 제외하면 제대로 된 제조업 기반의 대기업을 찾아보기 어렵다.
광주의 성장 엔진으로 주목됐던 문화수도 조성 사업은 문화산업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미래형 자동차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광주형 일자리도 아직은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 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광주의 광산업은 내리막길에 들어선 지 오래며 금호타이어는 매각의 칼바람 앞에 섰다. 전남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나주 혁신도시에 한전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밸리를 구축하는 것은 희망적이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전남 제조업 생산의 90% 이상을 책임지는 조선·철강·석유화학 산업은 심각한 위기 국면에 빠져 있다. 쌀값 폭락 등으로 농어민의 등골은 휘어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전남 인구는 지난 3월말 기준 189만944명으로 190만 명 선이 붕괴됐다. 광주전남발전연구원은 2040년 광주의 전체 95개 동 가운데 34개 동(35.8%)이, 전남의 전체 297개 읍면동 지역 중 98개 읍면동(33.0%)이 소멸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이러한 경제 생태계 붕괴로 청년들은 떠나고 실물경제·골목 경기가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지역 사회 전반에 활력이 사라지고 있다. 기업은 물론 사회 전반에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지역 경제 전반이 침체하면서 남도 특유의 품 넓은 인심도 예전 같지 않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번 대선을 앞두고 ‘호남 경제 생태계 복원’이 중심 화두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호남의 미래를 위해서는 정치적·시대적 명분도 좋지만 경제적 실리를 챙겨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문재인·안철수 후보의 호남 공약은 기존의 현안 사업을 재탕하는 포괄적 접근에 그치고 있다는 평가다.
때문에 호남 유권자들은 앞으로 보다 꼼꼼하게 후보들의 공약을 따지고 호남에 대한 진정성 여부를 판단해서 지지의 조건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는 대선 주자들이 미동도 하지 않거나 대충 넘어가려 할 공산이 크다.
고질적인 호남 인사 차별도 이번 대선을 계기로 반드시 청산해야 한다. 정부 부처의 인적 네트워크는 호남의 미래를 견인할 기반이자 자산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보수 정권에서 호남 인재들은 푸대접을 넘어 노골적인 차별을 받아 왔다. 바른정당 정운천 의원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서의 차관급 이상 공직자 출신지를 분석한 결과, 영남 출신은 각기 36.6% 34.9%로 집계된 반면 호남 출신은 15.5%, 10.9%에 불과했다. 사실상 호남 소외가 고착화된 것이다.
실제로 영남 지역 광역 시·도 공직자가 정부 부처로 발령이 나면 대부분 직급 강등 없이 본부로 가는 반면 광주·전남의 경우 직급 강등은 물론 외청이나 사업소로 배치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특히 핵심 보직에는 접근도 하지 못한 채 사업소를 떠돌다가 다시 낙향하는 눈물겨운 사례도 많았다. 검찰·국세청·국정원·경찰 등 권력기관의 경우 호남 소외는 더욱 심했다는 건 주지의 사실이다.
10년 보수 정부를 거치는 동안 호남의 인적 기반도 사실상 붕괴 직전에 놓였다. 차기 정부가 출범하더라도 호남 공직자들의 경력 미비 및 단절 등으로 핵심 보직 발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문재인 후보는 “호남 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은 인사부터 구제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호남 총리론’까지 시사하고 있다. 안철수 후보도 호남 차별을 없애고 지역 격차를 줄이겠다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호남 경제 생태계 복원과 인사차별 철폐는 정권의 의지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호남 민심이 대권의 향배를 결정한다는 것이 정치권 전반의 관측이다. 장미 대선이 호남의 미래를 꽃피울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만드는 것도 결국 호남 민심의 최종적인 판단과 선택에 달려 있다. 진지한 고민과 현명한 선택만이 호남의 미래를 밝게 열 수 있는 길이다.
이러한 경제 생태계 붕괴로 청년들은 떠나고 실물경제·골목 경기가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지역 사회 전반에 활력이 사라지고 있다. 기업은 물론 사회 전반에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지역 경제 전반이 침체하면서 남도 특유의 품 넓은 인심도 예전 같지 않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번 대선을 앞두고 ‘호남 경제 생태계 복원’이 중심 화두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호남의 미래를 위해서는 정치적·시대적 명분도 좋지만 경제적 실리를 챙겨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문재인·안철수 후보의 호남 공약은 기존의 현안 사업을 재탕하는 포괄적 접근에 그치고 있다는 평가다.
때문에 호남 유권자들은 앞으로 보다 꼼꼼하게 후보들의 공약을 따지고 호남에 대한 진정성 여부를 판단해서 지지의 조건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는 대선 주자들이 미동도 하지 않거나 대충 넘어가려 할 공산이 크다.
고질적인 호남 인사 차별도 이번 대선을 계기로 반드시 청산해야 한다. 정부 부처의 인적 네트워크는 호남의 미래를 견인할 기반이자 자산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보수 정권에서 호남 인재들은 푸대접을 넘어 노골적인 차별을 받아 왔다. 바른정당 정운천 의원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서의 차관급 이상 공직자 출신지를 분석한 결과, 영남 출신은 각기 36.6% 34.9%로 집계된 반면 호남 출신은 15.5%, 10.9%에 불과했다. 사실상 호남 소외가 고착화된 것이다.
실제로 영남 지역 광역 시·도 공직자가 정부 부처로 발령이 나면 대부분 직급 강등 없이 본부로 가는 반면 광주·전남의 경우 직급 강등은 물론 외청이나 사업소로 배치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특히 핵심 보직에는 접근도 하지 못한 채 사업소를 떠돌다가 다시 낙향하는 눈물겨운 사례도 많았다. 검찰·국세청·국정원·경찰 등 권력기관의 경우 호남 소외는 더욱 심했다는 건 주지의 사실이다.
10년 보수 정부를 거치는 동안 호남의 인적 기반도 사실상 붕괴 직전에 놓였다. 차기 정부가 출범하더라도 호남 공직자들의 경력 미비 및 단절 등으로 핵심 보직 발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문재인 후보는 “호남 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은 인사부터 구제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호남 총리론’까지 시사하고 있다. 안철수 후보도 호남 차별을 없애고 지역 격차를 줄이겠다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호남 경제 생태계 복원과 인사차별 철폐는 정권의 의지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호남 민심이 대권의 향배를 결정한다는 것이 정치권 전반의 관측이다. 장미 대선이 호남의 미래를 꽃피울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만드는 것도 결국 호남 민심의 최종적인 판단과 선택에 달려 있다. 진지한 고민과 현명한 선택만이 호남의 미래를 밝게 열 수 있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