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빗물받이 등 배수시설 불편 민원 전국 최고
1만명 당 민원 9.6건 접수
권익위, 분석 보고서 공개
권익위, 분석 보고서 공개
광주가 여름철 빗물받이, 우수관 등 배수시설과 관련한 불편 민원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제기된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는 17일 ‘한눈에 보는 민원 빅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분석한 ‘여름철 배수시설 관련 민원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
지난해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 6개월간 국민신문고, 지방자치단체 민원창구 등에 수집된 빗물받이·우수관 등 배수시설 관리 미비로 인한 민원을 집계한 결과다.
이 기간 전국에서는 2만 604건의 민원이 접수됐으며, 그 중 광주에서는 총 1344건의 민원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건수만으로도 서울 7093건, 경기 3475건에 이어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세 번째로 많은 건수가 접수된 것이다. 인천 1176건, 부산 778건 등이 뒤를 이었으며 전남은 650건으로 8위였다.
인구 1만명 당 민원 건수로 비교할 경우, 광주는 1만명 당 9.6건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 서울(7.6건), 대전(4.9건), 인천(3.9건), 전남(3.64건) 등이 뒤이었다.
면적 100㎞당 민원 건수로 비교하면, 인구가 집중돼 있는 서울(100㎞당 1172건)을 제외하고 광주(268건)가 가장 많았다. 대전(130건), 인천(110건), 부산(100건) 등과는 두 배 이상 차이가 벌어졌다.
민원은 도로나 인도 등에서 배수가 원활하지 않거나 침수 우려가 있어 정비를 요청하는 신고성 민원이 대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로와 인도에 물이 차서 지나갈 수 없다”, “빗물이 역류해서 건물 안까지 들어왔다” 등 불편을 넘어서 안전 우려가 함께 제기된 사례가 많았다고 권익위는 설명했다.
또 상습 침수지역을 미리 정비해 달라거나, 빗물받이에 토사나 낙엽 등 쌓인 퇴적물을 제거해 줄 것, 쓰레기가 들어가지 않는 빗물받이로 교체해 줄 것 등 사고 발생에 앞서 조치를 해 달라는 민원도 다수를 차지했다고 한다.
국민권익위는 민원 분석 결과를 전국 지자체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관계기관에 공유할 방침이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
국민권익위원회는 17일 ‘한눈에 보는 민원 빅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분석한 ‘여름철 배수시설 관련 민원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
지난해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 6개월간 국민신문고, 지방자치단체 민원창구 등에 수집된 빗물받이·우수관 등 배수시설 관리 미비로 인한 민원을 집계한 결과다.
단순 건수만으로도 서울 7093건, 경기 3475건에 이어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세 번째로 많은 건수가 접수된 것이다. 인천 1176건, 부산 778건 등이 뒤를 이었으며 전남은 650건으로 8위였다.
인구 1만명 당 민원 건수로 비교할 경우, 광주는 1만명 당 9.6건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 서울(7.6건), 대전(4.9건), 인천(3.9건), 전남(3.64건) 등이 뒤이었다.
민원은 도로나 인도 등에서 배수가 원활하지 않거나 침수 우려가 있어 정비를 요청하는 신고성 민원이 대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로와 인도에 물이 차서 지나갈 수 없다”, “빗물이 역류해서 건물 안까지 들어왔다” 등 불편을 넘어서 안전 우려가 함께 제기된 사례가 많았다고 권익위는 설명했다.
또 상습 침수지역을 미리 정비해 달라거나, 빗물받이에 토사나 낙엽 등 쌓인 퇴적물을 제거해 줄 것, 쓰레기가 들어가지 않는 빗물받이로 교체해 줄 것 등 사고 발생에 앞서 조치를 해 달라는 민원도 다수를 차지했다고 한다.
국민권익위는 민원 분석 결과를 전국 지자체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관계기관에 공유할 방침이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