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정 광주시의원, 실행 없는 ‘장기요양요원 계획’ 질타
![]() 박미정 광주시의원 |
광주시의회 박미정(민주·동구2) 의원은 6일 열린 환경복지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장기요양요원의 낮은 임금과 열악한 노동 여건 개선 내용을 담은 장기요양요원 지원 계획이 지난 2018년 5월부터 마련돼 조례도 개정됐지만, 광주시의 실행 의지가 없다”고 질타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광주 장기요양요원 지원계획은 지난 2021년 44억원을 투입해 4대분야 16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었다. 주요 사업으로는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설치 ▲광주형 좋은돌봄 인증제 운영 ▲장기요양요원 대체인력 지원방안 ▲심리상담및힐링프로그램 운영 ▲장기요양요원 합동워크숍 추진 등이다.
하지만, 이 가운데 절반 이상 사업이 신규 진행이었고, 장기요양요원 지원센터 설치의 경우 특·광역시 중 뒤늦게 10월에 사업이 추진됐다. 장기요양요원 합동워크숍, 심리상담 및 힐링프로그램 운영의 경우도 미시행 상태다.
박 의원은“장기요양요원 대체인력의 지원의 경우 광주시가 2022년부터 조리원과 간호직은 지원했다고 보고 했지만 그 결과는 제시하지 못했다”면서“요양기관의 중심인력인 요양보호사와 사회복지사들도 병가, 교육 등의 사유로 휴가를 눈치 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대체인력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박 의원에 따르면 광주 장기요양요원 지원계획은 지난 2021년 44억원을 투입해 4대분야 16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었다. 주요 사업으로는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설치 ▲광주형 좋은돌봄 인증제 운영 ▲장기요양요원 대체인력 지원방안 ▲심리상담및힐링프로그램 운영 ▲장기요양요원 합동워크숍 추진 등이다.
박 의원은“장기요양요원 대체인력의 지원의 경우 광주시가 2022년부터 조리원과 간호직은 지원했다고 보고 했지만 그 결과는 제시하지 못했다”면서“요양기관의 중심인력인 요양보호사와 사회복지사들도 병가, 교육 등의 사유로 휴가를 눈치 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대체인력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