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니아 법정관리에…광주·전남 가전 협력사 줄도산 위기
  전체메뉴
위니아 법정관리에…광주·전남 가전 협력사 줄도산 위기
광주·전남 300여 협력사…5천만~50억원 등 손실 우려
회생 신청에 어음 발생 금융권 차입금 411억원 떠안게 돼
지역경제계 위기 확산…광주상의 “중앙·지자체 차원 특단” 촉구
2023년 10월 10일(화) 16:25
/클립아트코리아
경기침체에 지역 가전업계가 어려움에 직면한 상황에서 위니아전자가 법정관리를 신청해 위기감이 깊어진다는 보도와 관련, 불안이 현실이 되고 있다.

광주에 공장을 두고 있는 위니아전자와 ㈜위니아 등 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광주·전남 300여 협력사들이 수백억원에 달하는 납품대금을 받지 못할 처지에 놓이면서 지역 가전업계의 줄도산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광주·전남지역 가전업계에 따르면 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인 위니아전자가 지난달 20일 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에 이어 25일 대유플러스, 지난 4일 ㈜위니아가 잇달아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처럼 냉장고와 세탁기 등 가전제품을 만드는 위니아전자와 김치냉장고 ‘딤채’를 생산하는 ㈜위니아 등이 경영난으로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되면서 광주·전남 협력사 등 지역 가전업계가 줄도산 위기에 놓였다.

㈜위니아의 이번 법정관리 신청에 따라 납품 대금 전자 B2B(어음) 발생으로, 금융권 차입금 411억원 상당을 지급하지 못할 상황이기 때문이다. 당장 이날부터 금융차입금을 협력사에서 대환해야 할 처지로, 이를 갚아나가지 못하는 협력사들이파산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는 실정이다.

이번 법정관리 신청에 따른 피해규모는 1차 협력사 150여개사, 2·3차 협력사 300여개사 등 450여개사로 추산된다. 여기에 위니아전자와 대유플러스의 법정관리로 협력사들이 총 1000억원 이상의 손실을 볼 것으로 지역 가전업계는 예측했다.

이들 협력사의 70~80% 수준인 300여개사(1차 협력사 100개사 이상)가 광주·전남 소재 기업이라는 점에서 지역경제계도 큰 충격에 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피해액은 협력사별로 적게는 5000만원부터 많게는 50억원 상당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위니아에 플라스틱 원료 등을 납품했던 광주의 한 협력사 대표 A씨는 “올해 처음 위니아 측에 원료를 납품했는데 이런 사태가 터졌다”며 “우리 회사는 24억원의 피해를 입게 생겼다. 지역 중소기업계에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을 것”이라고 호소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지역 협력사를 주축으로 꾸려진 ‘위니아 채권단’은 이날 광주시청에서 집회를 열고 위니아 측의 빠른 사태 해결을 촉구하기도 했다.

채권단은 “위니아 법정관리 신청 중 홈쇼핑에서 판매행위를 계속하는 행위는 채권단을 기만하는 것”이라며 “위니아에서 채권단에 상황 설명이나 사과도 없이 법정관리 신청 후 어떠한 행동도 없었다. 박영우 회장 등 경영진은 밀린 납품대금을 즉각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어음만기가 도래해 줄도산 위기”라며 “금융권, 정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우선적으로 긴급 금융지원에 나서 달라”고 호소했다.

지역경제계도 호소문을 내고 지역경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치를 마련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날 광주상공회의소는 호소문을 통해 “지역경제 주축을 이루고 있는 가전산업 분야 주요 기업의 잇따른 법정관리 신청에 대해 큰 충격과 함께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중앙 및 지방 정부를 중심으로 지역 경제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고 이를 조속히 추진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300여개에 달하는 지역 협력기업들은 납품대금의 회수 지연과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자금운용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등 경영난이 심화하고, 이 사태가 길어지면 줄도산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지자체 및 중앙정부 차원의 전담기구 구성을 통해 지역 기업들의 피해상황 등을 파악하고 긴급경영안정자금 등 지원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헤어나올 길이 보이지 않는다…위기에 빠진 광주 제조업계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