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경찰, 국민시각 반영 ‘112 코드’ 마련
‘인적 침해’·‘공공 안전’ 코드 상향
![]() |
전남경찰이 국민과 경찰의 범죄에 대한 시각차를 반영해 112신고 코드 체제를 정비한다.
전남경찰청은 최근 3개월간 전남경찰청에 신고된 사건 중 100건을 뽑아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한 ‘112신고 코드 체제 재정립안’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설문조사는 경찰 125명과 일반 시민 201명을 대상으로 3월부터 5월까지 2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조사결과 국민은 ‘인적 피해’ 및 ‘공공 안전’과 관련된 신고에 있어 경찰보다 더 긴급한 코드를 부여한 반면, 경찰은 ‘물적 피해’ 및 ‘내용이 불명확한 신고’에 있어 더 긴급한 코드를 부여했다. 국민들은 실질적 위험성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반면, 경찰은 법정형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에 경찰은 지난 2010년 마련한 ‘112신고 코드체제’(코드0~코드4)를 유지하면서 인적 침해 및 공공 안전에 대한 위험에 대해서는 코드를 상향할 예정이고, 법정형 보다는 실질적 불안감을 감안한 코드 지정 등 국민 코드의 특성을 반영하기로 했다.
경찰은 6개월 이후 재설문을 통해 국민과 경찰간 인식차 감소 여부 및 112신고 국민 만족도 지표 개선(신속성, 전문성) 여부를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또 장기적으로는 ‘AI 자동 코드부여’ 시대에 대비, AI가 기존 경찰 시각 뿐 아니라 국민 시각도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 기관에 자료를 제공하는 등 협업해 나갈 방침이다.
전남경찰청 관계자는 “코드 체제가 도입된 지 13년이 지났지만 국민 시각이 반영된 적은 없었다”며 “새로운 112코드 체제는 치안 수요자인 국민의 시각을 반영했다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전남경찰청은 최근 3개월간 전남경찰청에 신고된 사건 중 100건을 뽑아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한 ‘112신고 코드 체제 재정립안’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설문조사는 경찰 125명과 일반 시민 201명을 대상으로 3월부터 5월까지 2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이에 경찰은 지난 2010년 마련한 ‘112신고 코드체제’(코드0~코드4)를 유지하면서 인적 침해 및 공공 안전에 대한 위험에 대해서는 코드를 상향할 예정이고, 법정형 보다는 실질적 불안감을 감안한 코드 지정 등 국민 코드의 특성을 반영하기로 했다.
또 장기적으로는 ‘AI 자동 코드부여’ 시대에 대비, AI가 기존 경찰 시각 뿐 아니라 국민 시각도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 기관에 자료를 제공하는 등 협업해 나갈 방침이다.
전남경찰청 관계자는 “코드 체제가 도입된 지 13년이 지났지만 국민 시각이 반영된 적은 없었다”며 “새로운 112코드 체제는 치안 수요자인 국민의 시각을 반영했다는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