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 여론에도 ‘광주전남연구원’ 분리 절차 착수
광주연구원, 30∼40명 인력 충원
전남연구원, 1단·6실·5센터 구성
전남연구원, 1단·6실·5센터 구성
![]() |
광주시와 전남도가 광주전남연구원을 분리해 각각 연구원을 개원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반면 지역 시민사회단체에선 연구원 재분리 결정에 대해 유감을 표하고, 분리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28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광주전남연구원 이사회가 지난 27일 연구원 분리 운영안을 의결함에 따라 시·도 연구원 분리 개원을 준비하고 있다. 시·도의회의 결정이 남긴 했지만, 광주시는 이르면 7월 광주연구원 개원을 목표로 조직, 인력 등을 구상 중이다.
기존 광주전남연구원을 승계하는 전남연구원과 달리 광주연구원은 법인 신설 절차를 밟아야 한다. 광주시는 조례 개정, 이사회 구성, 법인 등기 등을 거쳐 공모를 통해 원장을 선임할 예정이다.
전남도와 협의해 현재 37명인 광주전남연구원 연구 인력 일부를 흡수한 뒤 30∼40명까지 인력을 충원하고, 연간 35억원 정도인 출연금도 확대해 독립 연구원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광주시는 설명했다. 사무실은 기존 공공 기관 청사에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전남도 역시 전남연구원 개원 준비에 돌입했다. 전남연구원은 조례 개정, 연구원 이사회 개최, 원장 선임 등을 거쳐 오는 7월 나주에 있는 현 광주전남연구원 사무실에서 개원식을 갖는다. 조직은 1단(상생협력단), 6실, 5센터 65명가량으로 꾸려진다.
광주전남연구원은 2015년 민선 6기 당시 광주·전남 상생 1호 사업으로 통합돼 현 광주전남연구원 체제를 갖췄으며, 민선 8기 출범 후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역 특성에 맞는 연구기능 강화 등을 이유로 재분리 의견을 제시해 공론화됐다.
하지만, 지역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연구원 분리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 광주진보연대,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등 시민단체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연구원 ‘재분리’ 결정에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며 “시·도의 거수기를 자처한 연구원 이사진은 전원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28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광주전남연구원 이사회가 지난 27일 연구원 분리 운영안을 의결함에 따라 시·도 연구원 분리 개원을 준비하고 있다. 시·도의회의 결정이 남긴 했지만, 광주시는 이르면 7월 광주연구원 개원을 목표로 조직, 인력 등을 구상 중이다.
전남도와 협의해 현재 37명인 광주전남연구원 연구 인력 일부를 흡수한 뒤 30∼40명까지 인력을 충원하고, 연간 35억원 정도인 출연금도 확대해 독립 연구원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광주시는 설명했다. 사무실은 기존 공공 기관 청사에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전남연구원은 2015년 민선 6기 당시 광주·전남 상생 1호 사업으로 통합돼 현 광주전남연구원 체제를 갖췄으며, 민선 8기 출범 후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역 특성에 맞는 연구기능 강화 등을 이유로 재분리 의견을 제시해 공론화됐다.
하지만, 지역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연구원 분리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 광주진보연대,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등 시민단체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연구원 ‘재분리’ 결정에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며 “시·도의 거수기를 자처한 연구원 이사진은 전원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