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 인력난 극복…어업 후계자 3500명 키운다
해수부, 수산업 첨단산업화…기술 위주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
2027년까지 청년 어업인 창업·경영 지원…어촌 생활 여건 개선도
2027년까지 청년 어업인 창업·경영 지원…어촌 생활 여건 개선도
![]()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해 7월 4일 수산계 고교 활성화를 위한 협약식을 개최하였다. 이번 협약식을 기점으로 시행되는 합동 홍보사업은 지난해 3월 31일 발표된 청년 어선원 육성방안의 후속 조치를 위해 마련됐다. /해양수산부 제공 |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어촌지역의 인구와 인력의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2027년까지 어업인 후계자 3500명과 청년 어선원 600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12일 해양수산부가 내놓은 ‘제1차 후계·청년 어업인 육성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어업 기자재 스마트화,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 등 수산업 첨단산업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그동안 양식과 뱃일 등 수산업은 위험하고 힘든 노동력 중심의 일자리라는 인식이 팽배했던 게 사실이다. 이에 따라 이런 인식을 바로잡고 기술 위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게 해수부의 설명이다.
해수부는 건축비 등을 지원해 어업·위판장을 현대화하고 차세대 어선형을 개발할 방침이다.
이밖에 청년이 어촌에 쉽게 정착하도록 가입비, 거주기간 등 어촌계 가입요건 완화도 추진한다.
찾아가는 설명회를 개최해 실습선 승선, 양식장 체험 등을 제공하면서 청년들의 수산계 학교 입학도 장려한다.
수산계 고등학교가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를 길러낼 수 있도록 실습을 지원하고 취업처와 연계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2025년 건조될 ‘수산계고교 공동실습선’을 활용해 해양수산연수원에서 승선 실습을 한다. 학생들이 첨단양식 기술을 배우게 2026년까지 조성되는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에서 현장실습을 추진한다.
수산계고교 졸업생이 수산계 대학에 수월하게 진학할 수 있도록 특성화고 재직자 전형도 홍보한다.
여기에 수산업경영인 육성자금의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지원조건을 개선하기로 했다.
현재 1200억원인 융자 규모를 2000억원 대로 확대하고, 수산업경영인 선발 규모를 매년 600여명에서 1000여명으로 늘린다.
어업인 후계자·우수경영인 육성자금의 금리인하도 추진한다.
어업투자 확대를 준비 중인 법인의 대표 청년 어업인에게 기반 조성, 경영역량 강화, 세무 상담 등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해 후계·청년 어업인의 어업법인 설립을 유도한다.
수산업을 처음 시작하는 청년 어업인에겐 어선 청년임대, 임대형 양식장 운영 등을 통해 초기 수산업 창업과 경영을 지원한다.
후계·청년 어업인의 어촌 생활 여건도 개선한다.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을 통해 어촌 지역의 경제, 생활, 안전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바꾸는 작업이다.
또 귀어 자금·청년 어촌 정착지원 등 정책자금 지원 조건을 개선하고 초기 귀어인을 위한 임시주거시설도 확대키로 했다.
수산활동을 하지 않는 귀어인 가족 구성원이 어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취업 지원을 강화한다. 어업인 일자리 지원센터의 역할을 강화하고 어촌지역의 일자리 매칭을 활성화한다.
마지막으로 어촌 체험 휴양마을(124개소)에 청년 선호도가 높거나 청년 전문가가 많은 체험행사를 개설한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12일 해양수산부가 내놓은 ‘제1차 후계·청년 어업인 육성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어업 기자재 스마트화,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 등 수산업 첨단산업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건축비 등을 지원해 어업·위판장을 현대화하고 차세대 어선형을 개발할 방침이다.
이밖에 청년이 어촌에 쉽게 정착하도록 가입비, 거주기간 등 어촌계 가입요건 완화도 추진한다.
찾아가는 설명회를 개최해 실습선 승선, 양식장 체험 등을 제공하면서 청년들의 수산계 학교 입학도 장려한다.
특히 2025년 건조될 ‘수산계고교 공동실습선’을 활용해 해양수산연수원에서 승선 실습을 한다. 학생들이 첨단양식 기술을 배우게 2026년까지 조성되는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에서 현장실습을 추진한다.
수산계고교 졸업생이 수산계 대학에 수월하게 진학할 수 있도록 특성화고 재직자 전형도 홍보한다.
여기에 수산업경영인 육성자금의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지원조건을 개선하기로 했다.
현재 1200억원인 융자 규모를 2000억원 대로 확대하고, 수산업경영인 선발 규모를 매년 600여명에서 1000여명으로 늘린다.
어업인 후계자·우수경영인 육성자금의 금리인하도 추진한다.
어업투자 확대를 준비 중인 법인의 대표 청년 어업인에게 기반 조성, 경영역량 강화, 세무 상담 등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해 후계·청년 어업인의 어업법인 설립을 유도한다.
수산업을 처음 시작하는 청년 어업인에겐 어선 청년임대, 임대형 양식장 운영 등을 통해 초기 수산업 창업과 경영을 지원한다.
후계·청년 어업인의 어촌 생활 여건도 개선한다.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을 통해 어촌 지역의 경제, 생활, 안전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바꾸는 작업이다.
또 귀어 자금·청년 어촌 정착지원 등 정책자금 지원 조건을 개선하고 초기 귀어인을 위한 임시주거시설도 확대키로 했다.
수산활동을 하지 않는 귀어인 가족 구성원이 어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취업 지원을 강화한다. 어업인 일자리 지원센터의 역할을 강화하고 어촌지역의 일자리 매칭을 활성화한다.
마지막으로 어촌 체험 휴양마을(124개소)에 청년 선호도가 높거나 청년 전문가가 많은 체험행사를 개설한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