훼손 방치된 ‘민족대표 33인’ 양한묵 선생 묘소 긴급 보수 나선다
  전체메뉴
훼손 방치된 ‘민족대표 33인’ 양한묵 선생 묘소 긴급 보수 나선다
호남 유일 ‘민족대표 33인’…전남도·화순군·문중 정비
보훈처에 현충시설 지정 요청도
2023년 03월 06일(월) 21:45
호남 유일 ‘민족대표 33인’ 양한묵 선생의 묘소가 크게 훼손됐는데도 방치되고 있다는 비판<광주일보 3월 2일자 1면>에 전남도와 화순군, 제주 양씨 문중이 긴급 보수 작업에 나섰다. <사진>

6일 전남도에 따르면 제주 양씨 문중은 지난 2일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야산에 있는 양 선생 묘소를 찾아가 훼손된 봉분을 긴급 보수했다. 봉분은 산짐승이 파헤친 듯 흙이 떨어져나가 있었으나 흙을 다시 쌓고 잔디를 심었다. 전남도와 화순군도 2일과 3일 묘소를 찾아 문중의 보수 작업을 지원했다.

보수 과정에서 양 선생의 묘소가 아직 국가보훈처 현충시설로 등록되지 않았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국가보훈처에 현충시설 지정요청서를 제출하고, 기존 70여cm 크기의 비석에 더해 양 선생의 공적을 기릴 수 있는 추가 비석을 설치하는 방안을 문중과 상의할 방침이다.

또 묘소 위치를 알리는 안내표지판을 마을 어귀 등지에 추가 설치하고 썩거나 부러지는 등 크게 훼손됐던 묘소 진입로 계단도 새로 설치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양 선생 묘 정비를 계기로 이달 중 전남도 내 현충시설 240개소를 일제 정비할 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전남도 내 독립운동 관련 121개소, 6·25전쟁 등 국가수호 관련 119개소의 현충시설이 대상이다.

전남도는 이들 시설을 일제히 조사한 뒤 일선 시·군과 협업해 개·보수 작업을 할 계획이며, 민간이 관리하는 현충시설의 경우 국가보훈처에 개·보수 지원을 건의한다. 아울러 일제조사 과정에서 양 선생 묘처럼 현충시설로 등록되지 않은 사적이 발견될 경우 국가보훈처에 문의해 신규 현충시설 지정을 요청할 방침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호국 영령들의 공훈과 희생정신을 기릴 수 있도록 새로운 현충시설을 발굴하고 지정하는 일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