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 해상풍력 발전 새로운 전기 맞았다
단지 조성 사업 반대 어민들
최근 “즉각 추진” 성명 발표
특별법도 올 상반기 제정될 듯
현안 해결 땐 글로법 기업 투자
최근 “즉각 추진” 성명 발표
특별법도 올 상반기 제정될 듯
현안 해결 땐 글로법 기업 투자
![]() |
전남의 미래 핵심사업인 ‘8.2GW 규모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에 대해 ‘반대’ 입장을 펴왔던 신안지역 어민들이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주장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사업이 현 정부 들어 다소 주춤하고 있는 가운데 수산업과의 공존, 추정 피해에 대한 정당한 보상 등 수용 가능한 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하며 반대했던 지역 어민들이 입장을 바꿨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남도와 신안군은 해상풍력 인허가 원스톱 처리기구 신설을 위한 ‘풍력발전 보급촉진 특별법’ 제정, 풍력 발전에 의해 생산된 전기 에너지의 전송 기반시설 마련 등과 함께 3대 핵심 현안인 ‘주민 수용성 확보’가 어느 정도 해결된 것으로 보고 있다.
5일 전남도와 신안군에 따르면 신안군어업인연합회가 지난 2일 광주에서 ‘공공주도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보고회’에서 “8.2GW 규모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의 즉각적인 추진을 정부에 요구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지역 어민들이 이 사업에 대해 신속한 추진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안군어업인연합회는 (사)한국수산업경영인연합회 신안군연합회, 새어민회, 신안군어촌계연합회 등 신안지역 10개 어업단체의 대표가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대기업들의 RE100 선언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 세계가 기존의 화석 에너지에서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한다”며 “연합회는 신안지역 경제 활성화, 어업인의 새로운 소득 창출 등을 위해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이 조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신안군민과 연대해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정부는 해상풍력 추진에 수산업공존방안과 합리적인 보상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보고회에서는 신안군이 녹색에너지연구원에 의뢰한 신재생에너지 개발 이익 공유, 어업인 대체 사업 및 상생 모델 발굴, 어업인 피해 보상 등의 주민 수용성과 관련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신안지역 어민의 의견을 들었다.
박우량 신안군수는 이 자리에서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어업인의 수용성 확보는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며 “어업인과 함께하고 수산업과 공존하는 상생 여건 조성, 합리적인 보상 방안 수립,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등 해상풍력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산업과 해상풍력의 공존 방안 마련을 위해 벨기에, 덴마크 등의 전문가를 초빙해 국제포럼, 국제세미나를 잇따라 개최한 바 있으며, 해상풍력과 관련 덴마크 베스타스, 독일 지멘스, 미국 제너럴일렉트릭 등 글로벌 터빈 3사의 터빈 공장 등의 유치에 나서는 등 시업을 실현시키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이번 신안 어민들의 성명서는 큰 의미가 있으며, 특별법 역시 올 상반기 제정될 가능성이 높다”며 “정부 국정과제에 해상풍력사업이 반영됐고, 풍력 보급목표도 2030년까지 연 1.9GW로 명확해진 만큼 앞으로 한층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신안=이상선 기자 sslee@kwangju.co.kr
5일 전남도와 신안군에 따르면 신안군어업인연합회가 지난 2일 광주에서 ‘공공주도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보고회’에서 “8.2GW 규모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의 즉각적인 추진을 정부에 요구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지역 어민들이 이 사업에 대해 신속한 추진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대기업들의 RE100 선언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 세계가 기존의 화석 에너지에서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한다”며 “연합회는 신안지역 경제 활성화, 어업인의 새로운 소득 창출 등을 위해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이 조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신안군민과 연대해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정부는 해상풍력 추진에 수산업공존방안과 합리적인 보상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보고회에서는 신안군이 녹색에너지연구원에 의뢰한 신재생에너지 개발 이익 공유, 어업인 대체 사업 및 상생 모델 발굴, 어업인 피해 보상 등의 주민 수용성과 관련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신안지역 어민의 의견을 들었다.
박우량 신안군수는 이 자리에서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어업인의 수용성 확보는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며 “어업인과 함께하고 수산업과 공존하는 상생 여건 조성, 합리적인 보상 방안 수립,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등 해상풍력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산업과 해상풍력의 공존 방안 마련을 위해 벨기에, 덴마크 등의 전문가를 초빙해 국제포럼, 국제세미나를 잇따라 개최한 바 있으며, 해상풍력과 관련 덴마크 베스타스, 독일 지멘스, 미국 제너럴일렉트릭 등 글로벌 터빈 3사의 터빈 공장 등의 유치에 나서는 등 시업을 실현시키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이번 신안 어민들의 성명서는 큰 의미가 있으며, 특별법 역시 올 상반기 제정될 가능성이 높다”며 “정부 국정과제에 해상풍력사업이 반영됐고, 풍력 보급목표도 2030년까지 연 1.9GW로 명확해진 만큼 앞으로 한층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신안=이상선 기자 sslee@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