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광주비엔날레 준비 어디까지 진행됐나
3차 미래혁신위 개최…추진 현황 등 공유
![]() |
(재)광주비엔날레(대표이사 박양우)는 21일 제3차 미래혁신위원회를 개최, 지난 회의 도출과제에 대한 결과보고,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추진 현황 보고 등에 대해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7월 열린 제2차 미래혁신위원회 도출 과제였던 인재 양성을 통한 조직 경쟁력 확보, 광주비엔날레 차별화 및 국제적 위상 강화, 비엔날레 도시 광주, 예술관광 연계,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신축 총력 등에 대해 재단 측에서 추진했던 후속 조치들을 공유했다.
재단 측은 올해 하반기 9월과 11월 두 차례 정규직 공채를 통해 지역 인재 7명을 채용했다. 광주의 문화예술 특화 전문 인력을 양성해 동반 성장해나가고 노하우를 축적하자는 취지에서 대규모 지역 인재 공채가 추진됐다.
지난 4월부터 11월까지 베니스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던 5·18민주화운동 특별전 등을 통해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성과를 일궜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까지 전시를 확장했다.
내년 행사 기간 동안 기간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을 비롯해 국립광주박물관, 무각사 로터스 갤러리, 예술공간 집,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 등지를 전시 공간으로 활용, 광주 전역을 문화예술 현장으로 탈바꿈한다는 전략과 함께, 관광 활성화 차원에서 광주비엔날레 2일권 입장권을 개발하기도 했다.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신축 총력과 관련해서는 최적의 공간 창출을 위해 광주시와 지속적인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추진 현황 등이 공유됐다. 이날 위원들은 개막이 107일 가량 남은 시점에서 광주비엔날레 성공 개최를 위해 광주의 문화예술 기관 등을 비롯해서 민관이 협력해야 하며 특히 광주시 차원에서 광주 전역이 축제가 될 수 있도록 구심점이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해외 인적 네트워킹 축적의 중요성과 시민 사회와 함께 하고 다양한 채널 등을 활용한 홍보마케팅의 중요성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다.
/김미은 기자 mekim@kwangju.co.kr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7월 열린 제2차 미래혁신위원회 도출 과제였던 인재 양성을 통한 조직 경쟁력 확보, 광주비엔날레 차별화 및 국제적 위상 강화, 비엔날레 도시 광주, 예술관광 연계,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신축 총력 등에 대해 재단 측에서 추진했던 후속 조치들을 공유했다.
지난 4월부터 11월까지 베니스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던 5·18민주화운동 특별전 등을 통해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성과를 일궜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까지 전시를 확장했다.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신축 총력과 관련해서는 최적의 공간 창출을 위해 광주시와 지속적인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추진 현황 등이 공유됐다. 이날 위원들은 개막이 107일 가량 남은 시점에서 광주비엔날레 성공 개최를 위해 광주의 문화예술 기관 등을 비롯해서 민관이 협력해야 하며 특히 광주시 차원에서 광주 전역이 축제가 될 수 있도록 구심점이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해외 인적 네트워킹 축적의 중요성과 시민 사회와 함께 하고 다양한 채널 등을 활용한 홍보마케팅의 중요성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다.
/김미은 기자 me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