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첫 김 양식 ‘광양김시식지’ 관광객 발길
K푸드 김 수출 늘자 주목
![]() 광양시 태인동에 위치한 지방기념물 제113호‘광양김시식지’ 전경. |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김이 K푸드 수출 1위 품목으로 부상하면서 세계 최초로 김을 양식한 곳인 ‘광양김시식지’가 주목받고 있다.
지방기념물 제113호인 광양김시식지는 세계 최초로 김을 양식한 김여익과 그 역사를 기리기 위한 곳이다. 영모재, 김역사관, 유물전시관 등이 있으며 김의 유래, 제조과정 등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는 곳으로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 곳이다.
밥상위에 빠지지 않는 김의 양식 역사는 광양김시식지를 찾은 관광객의 흥미를 더해주고 있다.
김여익은 병자호란에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었다는 소식에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서 은둔하던 중 바다에 떠다니는 나무에 해초가 걸리는 것을 목격한다.
김여익은 이에 착안, 강과 바다가 만나 영양이 풍부한 광양 태인도의 이점을 살린 섶꽂이 방식의 김 양식법을 최초로 창안하고 보급하면서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했다.
수라상에 오른 김에 매료된 인조가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에 그의 성을 따 ‘김’이라 부르도록 했다는 이야기는 듣는 이들이 무릎을 치면서 미소 짓는 대목이다.
김이 생산되던 태인도 일대에는 광양제철소가 건설돼 金(김)과 글자가 같은 金(쇠)을 생산하고 있는데, 자동차 강판 전문제철소로 단일 공장 규모 세계 최대 조강 생산량을 자랑하며 지명의 의미를 되새겨 보게 한다.
/광양=김대수 기자 kds@kwangju.co.kr
지방기념물 제113호인 광양김시식지는 세계 최초로 김을 양식한 김여익과 그 역사를 기리기 위한 곳이다. 영모재, 김역사관, 유물전시관 등이 있으며 김의 유래, 제조과정 등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는 곳으로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 곳이다.
김여익은 병자호란에 청과 굴욕적인 화의를 맺었다는 소식에 통탄하며 광양 태인도에서 은둔하던 중 바다에 떠다니는 나무에 해초가 걸리는 것을 목격한다.
김여익은 이에 착안, 강과 바다가 만나 영양이 풍부한 광양 태인도의 이점을 살린 섶꽂이 방식의 김 양식법을 최초로 창안하고 보급하면서 바다를 경작의 영역으로 확장했다.
수라상에 오른 김에 매료된 인조가 광양의 김여익이 진상했다는 말에 그의 성을 따 ‘김’이라 부르도록 했다는 이야기는 듣는 이들이 무릎을 치면서 미소 짓는 대목이다.
/광양=김대수 기자 kds@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