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수해 구례 주민 1818명 1042억원 규모 배상 신청
![]() 지난해 8월 500mm 이상 물폭탄이 쏟아지면서 제방이 붕괴, 섬진강이 범람하면서 수중도시가 된 구례읍. <광주일보 자료사진> |
지난해 8월 섬진강 범람으로 수해 피해를 입은 구례주민 1818명이 본격적으로 배상 요구를 하고 나섰다.
1일 구례군과 섬진강 수해 구례군 피해자 단체 등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31일까지 구례읍사무소에서 ‘2020년 수해 피해 분쟁조정 신청’을 받은 결과, 1818명이 1042억원 규모의 피해 배상 신청서를 제출했다.
구례군은 민간 수해대책위와 합동으로 구례군 환경분쟁조정 신청 추진 지원단을 발족하고 행정적인 지원을 해왔다. 읍·면별로는 구례읍 891명, 문척면 211명, 간전면 92명, 토지면 202명, 마산면 266명 등인 것으로 집계됐다.
구례군은 오는 2일 환경부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피해 주민들의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며 피해액은 심의와 검토를 거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수해대책위 공동대표들은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등 피청구기관 11곳을 상대로 섬진강 수해를 유발한 직무 유기 및 방임 책임을 묻고 그에 걸맞은 피해 배상을 요구할 것”이라며 의지를 밝혔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1일 구례군과 섬진강 수해 구례군 피해자 단체 등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31일까지 구례읍사무소에서 ‘2020년 수해 피해 분쟁조정 신청’을 받은 결과, 1818명이 1042억원 규모의 피해 배상 신청서를 제출했다.
구례군은 오는 2일 환경부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피해 주민들의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며 피해액은 심의와 검토를 거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수해대책위 공동대표들은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등 피청구기관 11곳을 상대로 섬진강 수해를 유발한 직무 유기 및 방임 책임을 묻고 그에 걸맞은 피해 배상을 요구할 것”이라며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