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신안군 ‘국립 한국섬진흥원’ 유치 경쟁 치열
  전체메뉴
목포시·신안군 ‘국립 한국섬진흥원’ 유치 경쟁 치열
전남도 건의 설립…전남 유치 유력
‘섬의 수도’ ‘섬 정책 선진지’ 내세워
8일까지 공모 마감…내달 최종 결정
2021년 03월 03일(수) 20:00
목포시와 신안군이 ‘한국섬진흥원’ 유치를 놓고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3일 목포시와 신안군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산하 섬정책 연구기관인 ‘국립 한국섬진흥원’ 후보지 공모가 오는 8일 마감이다.

광역자치단체가 2개 이내 후보지(섬을 보유하고 있는 시·군·구)를 신청하면 균형발전, 입지여건, 섬 발전 정책 사업과의 연관성, 참여도 등 선정 기준에 따라 현장실사·심사를 거쳐 오는 4월까지 최종 설립지역을 결정하고 8월께 정식 출범한다.

한국섬진흥원은 도서개발촉진법에 따라 설립되는 정부출연기관이다. 3실 8팀 50여명 규모이며, 섬에 대한 조사·연구와 관리·보전·진흥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섬진흥원이 설립되면 앞으로 5년간 생산유발 효과 407억원, 부가가치 효과 274억원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현재 목포와 신안, 경남 통영과 남해, 충남 보령, 인천 옹진 등이 공모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전남도가 건의해 한국섬진흥원 설립이 확정됐기 때문에 지역 공모는 전남 유치가 유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전남 기초단체 중 어디가 후보지로 결정될 것인가가 관심이다.

현재 ‘대한민국 섬의 수도’를 표방하는 목포시와 ‘섬 정책 선진지’를 내세운 신안군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목포시는 지난달 25일 시청 상황실에서 한국섬진흥원 목포유치 추진위원회 발족식을 갖고 섬진흥원 유치를 공식화했다.

추진위는 서남권 섬의 관문이자 연구기관·섬 관련 단체가 집적화된 ‘대한민국 섬의 수도’인 목포에 한국섬진흥원이 설립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H자축 환황해권 국가발전전략의 거점도시로 호남~충북~강원~북한~러시아를 연결하는 강호축의 출발점이며 국도1호선(목포~신의주), 국도2호선(목포~부산)의 기점이면서 철도, 고속도로, 공항·항만 등 완벽한 광역 및 지역 연계 교통망을 보유하고 있어 접근성이 탁월함을 강조하고 있다.

목포시는 지난 2012년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이 국가 중장기 섬정책 지원 허브기관으로 ‘섬진흥원 설립’을 최초로 제안했다며 기득권과 당위성으로 내세우고 있다.

신안군은 한발 앞서 지난달 24일 한국섬진흥원 유치 공모 참여를 공식 선언했다.

박우량 군수는 이날 공식 발표문을 통해 “대한민국에서 섬이 가장 많은 지자체이기 때문이 아니라 신안군은 노무현·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섬 정책 역사를 새로 써 온 누구나 인정하는 ‘섬 정책 선진지’이기 때문에 한국섬진흥원 유치를 신청하는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전국 최초로 ‘버스 완전공영제’를 실시한 신안군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직접 건의해 일제 통치수단이었던 야간 여객선 운항 금지를 철폐하고 100년 만에 야간 여객선 운항을 최초로 현실화했다. 여기서 머물지 않고 2019년부터는 ‘여객선 완전 공영제’로 가기 위한 마중물 정책인 ‘1000원 여객선’을 역시 전국 최초로 시범 운항하고 있다.

또 전국 최초로 ‘신재생에너지 이익 공유에 관한 조례’를 제정, 주민들의 참여와 이익 공유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문 대통령도 수차례에 “신재생에너지 개발 사업은 신안군처럼 하라”고 찬사를 보냈다.

신안군은 ‘한국판 뉴딜’ 정책으로 섬의 자원과 자산을 디지털로 정형화해 활용하는 ‘섬 데이터 댐’ 구축 사업을 정부에 제안, 추진하고 있다.

신안군은 섬이 가장 많다는 약점조차 ‘천사(1004)섬’이란 브랜드 마케팅으로 성공시켰다. 섬이 변방의 보잘것없는 곳이 아닌 예술의 진원지로 거듭나게 만드는 신안군의 ‘섬 예술정책’은 CNN과 폭스뉴스 등 세계 유수 언론이 주목하고 있다.

/목포=박종배 기자 pjb@kwangju.co.kr

/신안=이상선 기자 sslee@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