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군공항 이전 ‘급물살’ 새 해법 나왔다
답보 상태에 빠진 광주 군공항 이전의 해법으로 당초 제시된 지원금 외에 의대 설립과 공공기관 이전 등 대형 인센티브를 함께 제공하는 ‘빅딜’ 방안이 새롭게 제시됐다. 이러한 방안은 엊그제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 지사,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광주시당위원장, 서삼석 전남도당위원장, 김산 무안 군수 등이 만나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이날 회동에서 강 정무수석은 그동안의 ‘기부 대 양여’ 방식에서 벗어나 패키지 빅딜 방안을 제시했다. 즉 광주 군공항이 무안으로 이전된다면 기존 4500억 원 규모의 지원 외에 전남 의대 설립 및 부속 병원 유치, 공항공사 이전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서남해안 풍력단지 배후시설 조성과 산단 유치 지원도 함께 제시됐다.
특히 강 수석은 “문재인 대통령이 자치단체 간 상생 모델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며 광주와 전남이 군공항 이전 조건에 합의한다면 청와대와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날 회동에서 구체적 결론이 도출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양 지역 광역단체장과 시도당위원장을 비롯해 이전 대상 후보지 기초단체장 등 이해 당사자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논의의 물꼬를 텄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그동안에도 양 시도지사와 지역 국회의원들의 회동은 있었지만 광주와 전남 간 의견 차이가 커서 해결책을 찾기 어려웠다. 이번에는 청와대와 정치권까지 합세해 다양한 해법을 모색하고, 정부와 광주시 차원의 추가 지원책을 계속 논의하기로 해 군공항 이전 논의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제 보다 진전된 해법이 제시된 만큼 전남도와 무안군도 새로운 협의의 틀에서 전향적인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군공항 이전은 광주와 전남 지역 상생을 위해서도 언제까지 미루고만 있어서는 안 될 일이기 때문이다. 지역 사회가 모든 역량을 결집해 새로운 미래를 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강 수석은 “문재인 대통령이 자치단체 간 상생 모델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며 광주와 전남이 군공항 이전 조건에 합의한다면 청와대와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날 회동에서 구체적 결론이 도출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양 지역 광역단체장과 시도당위원장을 비롯해 이전 대상 후보지 기초단체장 등 이해 당사자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논의의 물꼬를 텄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이제 보다 진전된 해법이 제시된 만큼 전남도와 무안군도 새로운 협의의 틀에서 전향적인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군공항 이전은 광주와 전남 지역 상생을 위해서도 언제까지 미루고만 있어서는 안 될 일이기 때문이다. 지역 사회가 모든 역량을 결집해 새로운 미래를 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