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역·광산서 5·18 사적지 지정 적극 검토해야
광주 광산구가 5·18민주화운동의 역사 현장을 사적지로 지정하는 절차에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관내 송정역과 광산경찰서를 사적지로 지정해 오월 정신을 전파하는 거점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현재 광산구에는 1980년 5월 전두환 신군부의 헌정 유린에 맞서 싸운 역사적 현장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하지만 43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5·18 사적지로 지정된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광주 지역 5·18민주화운동 사적지가 동구에 15개소, 서구 여섯 개소, 남구 세 개소, 북구에 다섯 개소가 각각 지정된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광산구는 토론회와 포럼을 잇따라 열어 광산구 5·18 사적지 지정에 대한 공감대를 수렴하고 ‘광산의 5·18’을 직접 경험한 당사자들의 증언을 청취했다. 그 결과 광산구는 송정역과 광산경찰서를 사적지 지정 후보지로 발굴했다. 송정역은 80년 5월 22일 시위 군중의 집결지이자 인근 지역에서 광주로 진입하려는 시민군과 계엄군이 대치했던 장소다. 또한 광산경찰서는 5·18 당시 여성 운동가들을 구금됐던 현장으로, 고문 수사와 잔혹 행위가 자행된 곳이다.
광산구는 현재 진행 중인 관련 자료·증언 정리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이르면 이달 말께 두 곳에 대한 사적지 지정 신청서를 광주시에 제출할 계획이다. 사실 송정역·광산경찰서의 5·18 사적지 지정은 뒤늦은 감이 없지 않다. 시민 항쟁의 역사와 숭고한 정신이 깃든 현장인데도 43년간 방치됐다는 건 부끄러운 일이다. 광주시는 5·18 민중항쟁의 교훈을 되새기는 다크투어리즘의 명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송정역과 광산경찰서에 대한 사적지 지정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현재 광산구에는 1980년 5월 전두환 신군부의 헌정 유린에 맞서 싸운 역사적 현장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하지만 43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5·18 사적지로 지정된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이에 따라 광산구는 토론회와 포럼을 잇따라 열어 광산구 5·18 사적지 지정에 대한 공감대를 수렴하고 ‘광산의 5·18’을 직접 경험한 당사자들의 증언을 청취했다. 그 결과 광산구는 송정역과 광산경찰서를 사적지 지정 후보지로 발굴했다. 송정역은 80년 5월 22일 시위 군중의 집결지이자 인근 지역에서 광주로 진입하려는 시민군과 계엄군이 대치했던 장소다. 또한 광산경찰서는 5·18 당시 여성 운동가들을 구금됐던 현장으로, 고문 수사와 잔혹 행위가 자행된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