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차별화·지역 특색 살려야 지방소멸 위기 돌파
[사라지는 지방 막을 수 없나] <8> 차별화·경제 양극화 해소
공공기관 이전·분산만으로 한계
대기업·중소기업 임금 격차 해소
지역의 미래 주력산업 개발해야
공공기관 이전·분산만으로 한계
대기업·중소기업 임금 격차 해소
지역의 미래 주력산업 개발해야
![]() |
일자리가 부족한 탓에 지역을 떠나는 청년들이 늘면서 지방소멸이 가속화되고 있다.
수도권을 제외한 각 지역·광역단체들이 앞다퉈 대기업과 미래 특화산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여전히 수도권과의 격차는 큰 것이 현실이다.
대기업을 유치하더라도 고용 인원은 한정적인 데다, 공공기관 이전 역시 일정 규모 이상의 지역 인재 채용은 어렵다는 점에서 결국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어서다.
특히 KTX 등 대중교통의 발달로 수도권과 지방 간 이동 시간이 짧아지는 점도 지방소멸의 원인으로 꼽힌다.
따라서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정부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 문제 해소에 적극 나서야 하고, 지방만의 특색을 살려 사람들이 찾고 머무르고 싶은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또한, 최근 광주와 전남이 기반을 다져가고 있는 인공지능(AI)과 미래자동차, 우주발사체·친환경 에너지 산업 등 미래 주력 산업을 적극 육성해 실력있고 유능한 지역 청년들이 고향을 떠나지 않도록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지방소멸 시대 특색 있는 도시 만들어야=유현준 건축사사무소의 대표 건축가이자 홍익대학교 교수인 유현준 교수는 “수도권의 인구를 지방으로 분산하기 위해선 각 지방들이 특색있는 도시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종시와 혁신도시 등 지방에 새로운 도시를 많이 만들었으나 제대로 성공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KTX가 발달했기 때문”이라고 운을 뗐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수도권과의 시간 거리가 단축돼 공간이 압축되는 효과가 생긴 것이라는 얘기다. 이는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하더라도 실제로 가족 전체가 이사를 하지 않고 ‘나홀로’ 이주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 나주 빛가람혁신도시 역시 주말이면 공공기관 직원들은 통근버스와 KTX를 이용해 집이 있는 수도권으로 떠나고 있다.
그는 지방소멸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도권과 다른 차별화된 공간’을 꼽았다. 그러면서 강원도 양양의 예를 들었다. 양양은 현재 서핑의 메카가 됐다. 서울~양양간 고속도를 통해 서울 사람들은 주말이면 양양을 간다. 서울에서 돈을 벌어 주말 양양에서 소비하는 셈이다.
유 교수는 “지방으로 경제적 부분과 인구를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그 지방의 독특한 라이프 스타일이 필요하다”며 “서울과 판이하게 다른 라이프 스타일과 도시경관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고향인 충남 예산상설시장을 되살리는 프로젝트도 눈여겨 볼만 하다. 실제 인구감소를 겪고 있는 농촌지역에서 거둔 성과로, 지방소멸의 한 해법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박진석 ㈜한국창업컨설팅 대표는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는 것은 결국 일자리와 즐길 수 있는 여가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며 “외부인의 방문이 늘어나면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고 숙박과 외식 등 관련 산업의 일자리도 증가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기업 일자리는 한정적…대·중소기업 격차 줄여야=지방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수도권과 지역 간 경제 양극화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광주·전남의 전체 기업 수는 45만9276개로, 이중 중소기업은 99.92%인 45만8898개에 달한다. 대기업은 고작 0.08% 수준인 378개에 불과하다.
종사자 수도 총 111만1162명으로 102만7161명(92.44%)이 중소기업 근로자다. 대기업 근로자는 8만4001명(7.56%)이다. 광주·전남의 일자리 100개 중 90개 이상이 중소기업이라는 얘기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위해 대기업을 유치하고, 공공기관을 이전해오는 것은 사실상 한계가 있다.
통계청의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를 보면 2021년 12월 기준 영리기업 가운데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월 563만원(세전 기준)으로 1년 전보다 6.6% 증가했다.
반면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266만원으로 2.9% 늘어나는데 그쳤다. 대기업 근로자의 소득 증가율은 2016년 이후 최고를 기록한 것과 달리, 중소기업은 최저를 기록했다. 이처럼 광주·전남의 고용 대다수는 중소기업에서 이뤄지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는 더 커지고 있어 지방소멸을 부추기고 있는 상황이다.
이창호 중기중앙회 광주전남본부장은 “일자리 미스매칭과 지방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여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한다. 대·중소기업 간 임금과 복지 격차를 줄여야 지방 이탈 현상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수도권을 제외한 각 지역·광역단체들이 앞다퉈 대기업과 미래 특화산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여전히 수도권과의 격차는 큰 것이 현실이다.
대기업을 유치하더라도 고용 인원은 한정적인 데다, 공공기관 이전 역시 일정 규모 이상의 지역 인재 채용은 어렵다는 점에서 결국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어서다.
따라서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정부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 문제 해소에 적극 나서야 하고, 지방만의 특색을 살려 사람들이 찾고 머무르고 싶은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또한, 최근 광주와 전남이 기반을 다져가고 있는 인공지능(AI)과 미래자동차, 우주발사체·친환경 에너지 산업 등 미래 주력 산업을 적극 육성해 실력있고 유능한 지역 청년들이 고향을 떠나지 않도록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세종시와 혁신도시 등 지방에 새로운 도시를 많이 만들었으나 제대로 성공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KTX가 발달했기 때문”이라고 운을 뗐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수도권과의 시간 거리가 단축돼 공간이 압축되는 효과가 생긴 것이라는 얘기다. 이는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하더라도 실제로 가족 전체가 이사를 하지 않고 ‘나홀로’ 이주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 나주 빛가람혁신도시 역시 주말이면 공공기관 직원들은 통근버스와 KTX를 이용해 집이 있는 수도권으로 떠나고 있다.
그는 지방소멸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도권과 다른 차별화된 공간’을 꼽았다. 그러면서 강원도 양양의 예를 들었다. 양양은 현재 서핑의 메카가 됐다. 서울~양양간 고속도를 통해 서울 사람들은 주말이면 양양을 간다. 서울에서 돈을 벌어 주말 양양에서 소비하는 셈이다.
유 교수는 “지방으로 경제적 부분과 인구를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그 지방의 독특한 라이프 스타일이 필요하다”며 “서울과 판이하게 다른 라이프 스타일과 도시경관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고향인 충남 예산상설시장을 되살리는 프로젝트도 눈여겨 볼만 하다. 실제 인구감소를 겪고 있는 농촌지역에서 거둔 성과로, 지방소멸의 한 해법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박진석 ㈜한국창업컨설팅 대표는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는 것은 결국 일자리와 즐길 수 있는 여가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며 “외부인의 방문이 늘어나면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고 숙박과 외식 등 관련 산업의 일자리도 증가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기업 일자리는 한정적…대·중소기업 격차 줄여야=지방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수도권과 지역 간 경제 양극화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광주·전남의 전체 기업 수는 45만9276개로, 이중 중소기업은 99.92%인 45만8898개에 달한다. 대기업은 고작 0.08% 수준인 378개에 불과하다.
종사자 수도 총 111만1162명으로 102만7161명(92.44%)이 중소기업 근로자다. 대기업 근로자는 8만4001명(7.56%)이다. 광주·전남의 일자리 100개 중 90개 이상이 중소기업이라는 얘기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위해 대기업을 유치하고, 공공기관을 이전해오는 것은 사실상 한계가 있다.
통계청의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를 보면 2021년 12월 기준 영리기업 가운데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월 563만원(세전 기준)으로 1년 전보다 6.6% 증가했다.
반면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266만원으로 2.9% 늘어나는데 그쳤다. 대기업 근로자의 소득 증가율은 2016년 이후 최고를 기록한 것과 달리, 중소기업은 최저를 기록했다. 이처럼 광주·전남의 고용 대다수는 중소기업에서 이뤄지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는 더 커지고 있어 지방소멸을 부추기고 있는 상황이다.
이창호 중기중앙회 광주전남본부장은 “일자리 미스매칭과 지방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여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한다. 대·중소기업 간 임금과 복지 격차를 줄여야 지방 이탈 현상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