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내년 노인일자리 지켜낸다
86억 편성 2만8000명 유지…맞춤돌봄·응급안전안심서비스도 확대
![]() |
광주시가 정부에서 줄인 2023년 노인일자리 사업을 올해 규모로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노인일자리 사업이 감소하면 생계유지가 절실한 저소득 고령층의 복지 사각지대 발생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 노인일자리 사업량은 2019년도 2만 1563명에서 2022년도 2만 8240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2023년도 국비지원 복지예산 삭감과 관련해 공익활동형 노인일자리 사업량 축소를 발표함에 따라 광주에서만 공익활동형 일자리 2500여 개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결국 저소득 고령층 2500명이 일자리를 잃게 되는 셈이다.
공익활동을 통한 노인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노동강도가 낮고 고령 노인의 삶 유지에도 도움이 되는 생계형 활동으로, 매년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이들 중 90%는 70대 이상 고령층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지난달 28일 강기정 시장 주재로 긴급 관계 부서 회의를 열고, 2023년도 전체 참여 인원 감소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일단 자체 예산을 투입해 국비 미지원분에 대한 재원을 마련하고, 2023년 전체 참여 인원을 2022년 2만 8000여 명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2023년도 노인일자리 사업 관련 자체 추가 예산은 86억원으로, 광주시는 시의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중순 확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시는 또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안전에 취약한 어르신을 대상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응급안전안심서비스도 이어간다. 올해는 19개 수행기관, 950여 명의 종사자가 어르신 1만3000여 명에게 안부를 묻고, 지역자원을 연계해 일상회복을 도왔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상시 보호가 필요한 독거어르신과 장애인 가정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장비를 활용한 화재, 가스, 활동감지기 등을 설치해 관리하는 사업으로, 5개 수행기관 14명의 종사자가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6000여 대를 운영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내년도 예산안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위기 경제 버팀목 예산’으로 편성했다”며 “노인일자리는 저소득 노인의 생계와 직결되는 만큼 올해 규모를 유지하고,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으로 어르신의 생활에 걱정이 없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 노인일자리 사업량은 2019년도 2만 1563명에서 2022년도 2만 8240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공익활동을 통한 노인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노동강도가 낮고 고령 노인의 삶 유지에도 도움이 되는 생계형 활동으로, 매년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이들 중 90%는 70대 이상 고령층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지난달 28일 강기정 시장 주재로 긴급 관계 부서 회의를 열고, 2023년도 전체 참여 인원 감소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2023년도 노인일자리 사업 관련 자체 추가 예산은 86억원으로, 광주시는 시의회 심의를 거쳐 다음 달 중순 확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시는 또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안전에 취약한 어르신을 대상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응급안전안심서비스도 이어간다. 올해는 19개 수행기관, 950여 명의 종사자가 어르신 1만3000여 명에게 안부를 묻고, 지역자원을 연계해 일상회복을 도왔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상시 보호가 필요한 독거어르신과 장애인 가정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장비를 활용한 화재, 가스, 활동감지기 등을 설치해 관리하는 사업으로, 5개 수행기관 14명의 종사자가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6000여 대를 운영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내년도 예산안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위기 경제 버팀목 예산’으로 편성했다”며 “노인일자리는 저소득 노인의 생계와 직결되는 만큼 올해 규모를 유지하고,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으로 어르신의 생활에 걱정이 없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