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영 전남대 객원 교수 ‘단박에 통하는 전달력수업’ 펴내
![]() |
말은 곧 그 사람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다. 내가 사용하는 언어는 내가 누구인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자신의 생각을 잘 전달하는 능력을 키워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어떻게 하면 전달력을 높일 수 있을까?
동의, 공감, 지지를 이끌어내는 말하기 법칙을 담은 책이 발간됐다. 공감커뮤니케이션연구소 대표 박진영 전남대 객원 교수가 펴낸 ‘단박에 통하는 전달력수업’(한언)이 그것.
KBS와 TBN에서 아나운서와 MC로도 활동했던 저자는 이번 책에서 전달력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메시지를 잘 전달하는 것은 상담이나 회의는 물론 발표, 기획서 작성, 이메일을 통한 협의 등 무언가를 전달할 때 중요한 능력이다.
저자는 “28년 동안 말 공부를 하면서 말이란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쓸 때보다 서로 마음을 나누고 연대할 때, 그리고 상처를 치유하는 데 쓸 때 빛이 나는 것임을 깨달았다”며 출간 배경을 말한다.
전달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은 청자의 말을 온전히 경청하고 상대의 처지를 배려하는 데서 시작된다.
나아가 전하고 싶은 핵심을 명확하게 말하고 정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부족한 부분을 고치는 훈련이 병행될 때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저자는 일상에서 부딪히는 언어 습관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올바른 어휘를 쓰거나 비문 고치기, 추상적이고 어려운 말 거르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말하기의 기본적인 목소리와 표정, 제스처 등 비어어적 메시지에 대해서도 상세히 언급하며 화상 회의에서 전달력 높이는 방법 등도 소개한다.
한편 언론학 박사이기도 한 저자는 지금까지 ‘한순간에 관계를 망치는 결정적 말실수’, ‘아나운서처럼 매력있게 말하기’ 등을 펴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어떻게 하면 전달력을 높일 수 있을까?
동의, 공감, 지지를 이끌어내는 말하기 법칙을 담은 책이 발간됐다. 공감커뮤니케이션연구소 대표 박진영 전남대 객원 교수가 펴낸 ‘단박에 통하는 전달력수업’(한언)이 그것.
메시지를 잘 전달하는 것은 상담이나 회의는 물론 발표, 기획서 작성, 이메일을 통한 협의 등 무언가를 전달할 때 중요한 능력이다.
저자는 “28년 동안 말 공부를 하면서 말이란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쓸 때보다 서로 마음을 나누고 연대할 때, 그리고 상처를 치유하는 데 쓸 때 빛이 나는 것임을 깨달았다”며 출간 배경을 말한다.
나아가 전하고 싶은 핵심을 명확하게 말하고 정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부족한 부분을 고치는 훈련이 병행될 때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다.
저자는 일상에서 부딪히는 언어 습관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올바른 어휘를 쓰거나 비문 고치기, 추상적이고 어려운 말 거르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말하기의 기본적인 목소리와 표정, 제스처 등 비어어적 메시지에 대해서도 상세히 언급하며 화상 회의에서 전달력 높이는 방법 등도 소개한다.
한편 언론학 박사이기도 한 저자는 지금까지 ‘한순간에 관계를 망치는 결정적 말실수’, ‘아나운서처럼 매력있게 말하기’ 등을 펴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