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경선 결과 승복” … 이재명 “손 잡고 가겠다”
“당무위 이의제기 불수용 결정 존중… 민주당 승리 위해 노력”
이재명 후보 “대의 위한 결단에 감사” … 민주, 본선 체제 전환
이재명 후보 “대의 위한 결단에 감사” … 민주, 본선 체제 전환
![]()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에 선출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10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에서 열린 서울 합동연설회에서 이낙연 경선 후보의 축하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당무위원회가 13일 대선 경선 ‘무효표 처리’와 관련한 이낙연 전 대표 측의 이의 제기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이낙연 전 대표도 이날 당무위 결정을 수용, 경선 결과에 승복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은 경선 잡음을 뒤로하고 이재명 대선 후보를 중심으로 단일대오를 형성, 대선에 임하게 됐다.
민주당 당무위는 이날 회의를 갖고 이낙연 전 대표 측이 제기한 ‘무효표 처리에 대한 이의제기’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의결했다. 당무위의 이번 결정으로 이재명 대선후보 선출이 최종 확정됐다.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당무위원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당무위원회는 지금까지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와 최고위원회가 해당 당규에 대해 결정한 것을 추인키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다만 향후 해당 당규에 대한 해석에 논란의 여지가 없도록 개정한다는 주문도 의결했다”라고 말했다.
앞서 이낙연 전 대표 측은 경선 과정에서 중도 사퇴한 후보들의 득표를 무효로 처리한 것이 잘못됐다며 당에 이의를 제기했다. 무효표를 전체 투표자 모수에 포함시킬 경우 이 지사의 득표율이 과반인 50.29%가 아닌 49.3%로 내려가 과반에 미달한 것이기 때문에 결선투표를 진행해야 된다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당무위가 사퇴 후보들의 표를 무효로 계산한 선관위의 판단을 따르면서 이 전 대표의 이의제기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번 의결은 76명의 당무위원 중 서면으로 의사를 표시한 15명을 포함해 총 64명이 합의·추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와 관련, 김영배 최고위원은 회의 후 “함께 승리의 길로 가야 한다는 차원에서 대승적으로 표결하지 않고 만장일치로 합의 처리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당무위의 결정에 대해 이낙연 전 대표도 이날 오후 대선 경선 승복을 선언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당무위 결정을 존중한다”며 “대통령후보 경선 결과를 수용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저는 민주당의 승리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강물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나라다운 나라를 포기하지 않습니다. 우리 함께 강물이 되어 반드시 4기 민주정부를 이룹시다”라고 했다. 사실상 캠프 소속 의원들과 지지자들에게 민주당 원팀으로 대선에 나서줄 것을 호소한 것이다.
이재명 대선 후보도 이날 이 전 대표가 경선 결과 승복을 선언하자 “대의를 위해 결단을 내려주신 이낙연 후보님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낙연 후보님과 함께 길을 찾고 능선을 넘어 반드시 정상에 오르겠다”고 밝혔다. 또 이 전 대표 지지자들에게도 “경선 과정에서 마음의 상처를 받은 분들이 많으신 줄 안다. 그러나 여전히 동지라는 점이 중요하다”며 “민주당의 이름으로, 동지의 이름으로 4기 민주정부 창출을 위해 다 같이 주인공이 되어 뛰자”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지난 10일 민주당 경선 결과 발표 후 이어진 후폭풍은 일단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하지만,‘명낙대전’으로 명명됐듯이 경선 과정의 갈등에 따른 감정적 앙금이 남아 있을 수 있어 민주당이 원팀으로 단일대오를 형성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민주당 대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국정감사에서 야당의 집중포화 속에서 대장동 특혜 개발 의혹을 떨쳐내느냐가 민주당 원팀을 만드는데 관건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지사가 국감장에서 야당 의원들의 예봉을 꺾는 데 성공한다면 지지층의 결집 등 대반전의 발판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후보의 출석이 예고된 상임위는 오는 18일 행안위와 20일 국토위다.
정치권 관계자는 “경선 잡음의 원인이 해소된 만큼 이제 민주당은 원팀으로 대선에 나서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 후보가 국감에서 대장동 특혜 개발 의혹을 떨치고 국민 앞에 나서야 민주당 원팀 구성은 물론 지지층 결집 및 중도 확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당무위원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당무위원회는 지금까지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와 최고위원회가 해당 당규에 대해 결정한 것을 추인키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다만 향후 해당 당규에 대한 해석에 논란의 여지가 없도록 개정한다는 주문도 의결했다”라고 말했다.
앞서 이낙연 전 대표 측은 경선 과정에서 중도 사퇴한 후보들의 득표를 무효로 처리한 것이 잘못됐다며 당에 이의를 제기했다. 무효표를 전체 투표자 모수에 포함시킬 경우 이 지사의 득표율이 과반인 50.29%가 아닌 49.3%로 내려가 과반에 미달한 것이기 때문에 결선투표를 진행해야 된다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당무위가 사퇴 후보들의 표를 무효로 계산한 선관위의 판단을 따르면서 이 전 대표의 이의제기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번 의결은 76명의 당무위원 중 서면으로 의사를 표시한 15명을 포함해 총 64명이 합의·추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와 관련, 김영배 최고위원은 회의 후 “함께 승리의 길로 가야 한다는 차원에서 대승적으로 표결하지 않고 만장일치로 합의 처리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재명 대선 후보도 이날 이 전 대표가 경선 결과 승복을 선언하자 “대의를 위해 결단을 내려주신 이낙연 후보님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낙연 후보님과 함께 길을 찾고 능선을 넘어 반드시 정상에 오르겠다”고 밝혔다. 또 이 전 대표 지지자들에게도 “경선 과정에서 마음의 상처를 받은 분들이 많으신 줄 안다. 그러나 여전히 동지라는 점이 중요하다”며 “민주당의 이름으로, 동지의 이름으로 4기 민주정부 창출을 위해 다 같이 주인공이 되어 뛰자”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지난 10일 민주당 경선 결과 발표 후 이어진 후폭풍은 일단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하지만,‘명낙대전’으로 명명됐듯이 경선 과정의 갈등에 따른 감정적 앙금이 남아 있을 수 있어 민주당이 원팀으로 단일대오를 형성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민주당 대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국정감사에서 야당의 집중포화 속에서 대장동 특혜 개발 의혹을 떨쳐내느냐가 민주당 원팀을 만드는데 관건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지사가 국감장에서 야당 의원들의 예봉을 꺾는 데 성공한다면 지지층의 결집 등 대반전의 발판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후보의 출석이 예고된 상임위는 오는 18일 행안위와 20일 국토위다.
정치권 관계자는 “경선 잡음의 원인이 해소된 만큼 이제 민주당은 원팀으로 대선에 나서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 후보가 국감에서 대장동 특혜 개발 의혹을 떨치고 국민 앞에 나서야 민주당 원팀 구성은 물론 지지층 결집 및 중도 확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