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낙, ‘대장동’ 대충돌…5·18 광주까지 소환
광주, 전남·북 TV 토론회 격돌
이재명측 “야당 대변인 되려나”
이낙연측 “야당과 엮지 말라”
이재명측 “야당 대변인 되려나”
이낙연측 “야당과 엮지 말라”
![]() 민주당 대선 경선 이재명 후보, 이낙연 후보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의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호남 경선을 앞두고 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대표 측이 ‘성남 대장지구 의혹’을 두고 거친 설전을 주고 받았다. 앞서 지난 19일 호남 순회 경선 투표를 앞두고 진행된 광주·전남·전북 TV 토론회에서도 이 문제는 주요 쟁점이었다.
이 전 대표 캠프의 정무실장인 윤영찬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이 지사 캠프를 향해 “이 전 대표를 국민의힘과 엮으려는 프레임을 당장 멈추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윤 의원은 “이 지사와 캠프가 이 전 대표에게 ‘국민의힘과 한배를 타는 것인가’라며 공격했다”며 “왜 한배를 타고 있는 민주당 내부에 총을 겨누는 것이냐. 이는 원팀 훼손을 넘어 원팀 정신 자체를 부정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이어 “대장동 의혹이 ‘국민의힘 게이트’라고 주장하려면 국민의힘을 공격하라”고 꼬집었다.
같은 캠프의 오영훈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내 “불난 집에서 밤을 구워 먹을 생각은 추호도 없다. 아무리 형편이 급하다고 제집 불난 것을 놓고 옆집 탓을 해서 되겠느냐”며 가세했다.오 대변인은 “이 지사 측은 야당과 보수언론의 주장에 편승했다고 나쁜 후보라고 한다”며 “그렇다면 (이번 의혹에 대해) ‘비상식적’이라고 답변한 김부겸 총리는 ‘나쁜 총리’, 의혹을 보도한 모든 언론은 ‘나쁜 언론’, 고개를 갸웃거리는 국민들은 ‘나쁜 국민’이냐”고 반문했다.
전날 이낙연 캠프를 향해 ‘야당과 한배를 타려는 것이냐’고 공격했던 이 지사 캠프의 현근택 대변인은 페이스북을 통해 “이 전 대표를 야당과 엮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이 전 대표가 야당의 주장에 동조하는 게 문제가 아니냐”고 역공했다.
이어 이 전 대표가 전날 토론회에서 이 지사에게 국감 증인 출석과 국정조사에 응하라고 한 것에 대해 “이 전 대표는 야당 대변인이 되려는 것이냐”며 “특검에도 응하라고 할 거냐”고 쏘아붙였다.
공방이 격화되자 이재명 열린캠프는 이날 오후 성명을 발표, “이 전 대표는 오해를 풀고 ‘국민의힘 토건 게이트’의 진실을 직시해달라”고 호소했다.
캠프의 박찬대 수석대변인은 국회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대장동 개발에 대해 “토건 게이트를 막으면서 가진 권한으로 최대치의 공익을 환수한 이재명 스타일 모범행정”이라며 “이 전 대표가 그 성과를 주목하지 않으니 안타깝다”고 했다.
이어 “이 전 대표가 주장하는 대장동 사업의 과장된 허구의 수익률은 어떻게 계산된 것인지 궁금하다”며 “또 ‘언론이 보도하면 문제가 있는 것’이라는 논리를 펴는데 광주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전 언론은 이를 ‘폭도의 만행’이라고 보도했는데 그게 진실은 아니지 않느냐”고 조목조목 따지기도 했다.
지난 19일 광주·전남·전북 TV 토론회에서도 ‘네거티브’ 비난을 의식해 직접 언급을 삼가던 이낙연 전 대표가 본격적으로 포문을 열었고 이에 이재명 경기지사도 적극적으로 반박, 이른바 ‘명·낙 갈등’이 고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전 대표는 이 지사를 향해 “소수 업자가 1100배 이득을 얻은 것은 설계 잘못이냐, 아니면 설계에 포함된 것이냐”며 “평소 공정경제를 강조하고 부동산 불로소득을 뿌리 뽑겠다고 했는데 배치되는 결과다. 역대급 일확천금 사건”이라고 직격했다.
이에 대해 이 지사는 “법학 공부하지 않았느냐. 1억원 자본금의 회사가 500억원을 투자받아서 250억원의 이익을 남겼으면 50% 이익이냐 250배 이익이냐”고 응수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연합뉴스
이 전 대표 캠프의 정무실장인 윤영찬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이 지사 캠프를 향해 “이 전 대표를 국민의힘과 엮으려는 프레임을 당장 멈추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같은 캠프의 오영훈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내 “불난 집에서 밤을 구워 먹을 생각은 추호도 없다. 아무리 형편이 급하다고 제집 불난 것을 놓고 옆집 탓을 해서 되겠느냐”며 가세했다.오 대변인은 “이 지사 측은 야당과 보수언론의 주장에 편승했다고 나쁜 후보라고 한다”며 “그렇다면 (이번 의혹에 대해) ‘비상식적’이라고 답변한 김부겸 총리는 ‘나쁜 총리’, 의혹을 보도한 모든 언론은 ‘나쁜 언론’, 고개를 갸웃거리는 국민들은 ‘나쁜 국민’이냐”고 반문했다.
이어 이 전 대표가 전날 토론회에서 이 지사에게 국감 증인 출석과 국정조사에 응하라고 한 것에 대해 “이 전 대표는 야당 대변인이 되려는 것이냐”며 “특검에도 응하라고 할 거냐”고 쏘아붙였다.
공방이 격화되자 이재명 열린캠프는 이날 오후 성명을 발표, “이 전 대표는 오해를 풀고 ‘국민의힘 토건 게이트’의 진실을 직시해달라”고 호소했다.
캠프의 박찬대 수석대변인은 국회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대장동 개발에 대해 “토건 게이트를 막으면서 가진 권한으로 최대치의 공익을 환수한 이재명 스타일 모범행정”이라며 “이 전 대표가 그 성과를 주목하지 않으니 안타깝다”고 했다.
이어 “이 전 대표가 주장하는 대장동 사업의 과장된 허구의 수익률은 어떻게 계산된 것인지 궁금하다”며 “또 ‘언론이 보도하면 문제가 있는 것’이라는 논리를 펴는데 광주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전 언론은 이를 ‘폭도의 만행’이라고 보도했는데 그게 진실은 아니지 않느냐”고 조목조목 따지기도 했다.
지난 19일 광주·전남·전북 TV 토론회에서도 ‘네거티브’ 비난을 의식해 직접 언급을 삼가던 이낙연 전 대표가 본격적으로 포문을 열었고 이에 이재명 경기지사도 적극적으로 반박, 이른바 ‘명·낙 갈등’이 고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전 대표는 이 지사를 향해 “소수 업자가 1100배 이득을 얻은 것은 설계 잘못이냐, 아니면 설계에 포함된 것이냐”며 “평소 공정경제를 강조하고 부동산 불로소득을 뿌리 뽑겠다고 했는데 배치되는 결과다. 역대급 일확천금 사건”이라고 직격했다.
이에 대해 이 지사는 “법학 공부하지 않았느냐. 1억원 자본금의 회사가 500억원을 투자받아서 250억원의 이익을 남겼으면 50% 이익이냐 250배 이익이냐”고 응수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