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삼재 버스 노선 허가 재고해야
국토교통부의 서울-지리산 성삼재 간 고속버스 노선 허가에 대한 반발이 커지고 있다. 전남도는 지리산 환경오염을 막아야 한다며 국토교통부와 경남도에 재검토를 요구했다. 이에 앞서 국토교통부는 경남 지역의 한 버스업체에 서울과 성삼재를 오가는 정기 고속버스 노선을 승인했다. 고속버스는 오는 24일부터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하지만 전남도와 구례군은 그동안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노선 신설에 대한 반대 의견을 수차례 국토부에 제시했다고 한다. 그러던 중 지난해 10월 이 구간 고속버스 노선에 대한 경남도의 협의 요청이 있었고 이에 전남도는 재차 반대 의견을 제시했지만 올해 6월 국토부가 노선 승인을 통보했다는 것이다.
전남도와 구례군은 이미 구례와 성삼재를 오가는 농어촌 좌석버스가 운행 중인 데다 산악 지역 특성과 기상 여건 등을 고려해 볼 때 버스 노선 신설은 부적합하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야간 산행객들은 주로 열차를 타고 내려와 구례구역에서 택시나 버스를 이용해 성삼재까지 이동해 왔다. 이 때문에 피해가 예상되는 구례군 소상공인들은 “이제 구례에는 매연만 남는 거 아니냐”며 한숨을 짓는다.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모임 지리산사람들’도 반대 대열에 동참했다. 이들은 “국토교통부의 이번 결정은 수도권 거주자들의 접근 편의성만 고려한 결과”라며 “성삼재도로의 위험성과 지리산국립공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 등을 조금이라도 고려했다면 결코 나올 수 없는 결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구례군은 그동안 지리산 대기오염 저감 대책으로 노고단 도로를 통제하고 차량 운행을 제한할 구상까지 하고 있었던 차에 국토교통부로부터 느닷없이 일격을 당한 셈이 됐다. 국토교통부는 이제라도 국민 안전을 위협하고 지리산국립공원 훼손을 촉진하는 서울~성삼재 버스 노선 인가를 취소해야 할 것이다.
전남도와 구례군은 이미 구례와 성삼재를 오가는 농어촌 좌석버스가 운행 중인 데다 산악 지역 특성과 기상 여건 등을 고려해 볼 때 버스 노선 신설은 부적합하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야간 산행객들은 주로 열차를 타고 내려와 구례구역에서 택시나 버스를 이용해 성삼재까지 이동해 왔다. 이 때문에 피해가 예상되는 구례군 소상공인들은 “이제 구례에는 매연만 남는 거 아니냐”며 한숨을 짓는다.
구례군은 그동안 지리산 대기오염 저감 대책으로 노고단 도로를 통제하고 차량 운행을 제한할 구상까지 하고 있었던 차에 국토교통부로부터 느닷없이 일격을 당한 셈이 됐다. 국토교통부는 이제라도 국민 안전을 위협하고 지리산국립공원 훼손을 촉진하는 서울~성삼재 버스 노선 인가를 취소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