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강소기업 현장 맞춤형 지원정책 강화
광주시 강소기업육성협의회
찾아가는 현장코칭 등
R&D·수출 역량 높이기 총력
찾아가는 현장코칭 등
R&D·수출 역량 높이기 총력
![]() 이병훈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이 지난 27일 오전 광주테크노파크에서 열린 2019 명품강소기업육성협의회에 참석해 22개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장, 명품강소기업협의회 대표 등과 인사하고 있다. |
광주시가 성장잠재력과 기술력을 겸비한 명품강소기업을 광주대표 기업으로 혁신성장할 수 있도록 R&D와 수출 역량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시는 지난 27일 오전 광주테크노파크에서 22개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장, 명품강소기업협의회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9 명품강소기업육성협의회를 개최해 2018 명품강소기업 추진 성과와 2019년 추진계획 등을 논의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참섬자들은 명품강소기업들이 R&D와 해외마케팅 전문인력 부족으로 기업운영의 애로를 해소하기위해 기업이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 원하는 강사를 선정해 직접 ‘R&D 전문가가 기업을 찾아가는 현장코칭’을 하는 사업을 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 사업은 고용노동부 지역산업맞춤형사업과 연계해 4년간 총 14억원(국비 8억원, 시비 6억원)예산으로 R&D 기획부터 지식재산권 획득, 시제품 제작 등 상용화 단계까지 지속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또 성장잠재력이 큰 수출유망기업을 발굴·선정(명품강소기업 10개사+협업기관 추천기업 10개사)해 기관협업 현장 밀착지원을 통해 맞춤형 수출지원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기로 했다.
이 사업에는 광주시, 중기청, 관세청, 무역협회, 중소기업진흥공단, 경제고용진흥원이 주축이 돼 참여기업을 현장 진단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로드맵을 수립해 지원한다. 기존 공모 방식에서 탈피해 성장잠재력과 의지가 큰 업체를 선정해 전문가의 진단결과를 바탕으로 기업별 지원을 한다는데에도 의미가 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시는 명품강소기업 100개사와 PRE-명품강소기업 20개사를 총량제로 운영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중앙정책사업과 연계하고 혁신성장을 위한 성장단계별 육성을 통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올해 명품강소기업 사무국을 설치하고, R&D 및 마케팅 분야 전문인력도 채용해 전문성을 강화하는 한편, 미래기술 개발, R&D과제 기획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 중장기 관점에서 신사업 고도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 2015년부터 4년간 명품강소기업 육성에 나서 명품강소기업 100개사 및 PRE-명품강소기업 20개사를 발굴하고, 스타기업 15개사, 글로벌강소기업 23개사, 월드클래스 300 6개사 등을 선정한 바 있다.
이병훈 문화경제부시장은 “기업이 경제성장의 축을 이루는 만큼, 우리 기관들이 기업 중심의 인식을 기반으로 투자하기 좋은 조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떠나는 광주에서 찾아오는 광주’가 되도록 노력하자”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시는 지난 27일 오전 광주테크노파크에서 22개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장, 명품강소기업협의회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9 명품강소기업육성협의회를 개최해 2018 명품강소기업 추진 성과와 2019년 추진계획 등을 논의했다.
이 사업은 고용노동부 지역산업맞춤형사업과 연계해 4년간 총 14억원(국비 8억원, 시비 6억원)예산으로 R&D 기획부터 지식재산권 획득, 시제품 제작 등 상용화 단계까지 지속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또 성장잠재력이 큰 수출유망기업을 발굴·선정(명품강소기업 10개사+협업기관 추천기업 10개사)해 기관협업 현장 밀착지원을 통해 맞춤형 수출지원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기로 했다.
시는 명품강소기업 100개사와 PRE-명품강소기업 20개사를 총량제로 운영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중앙정책사업과 연계하고 혁신성장을 위한 성장단계별 육성을 통해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올해 명품강소기업 사무국을 설치하고, R&D 및 마케팅 분야 전문인력도 채용해 전문성을 강화하는 한편, 미래기술 개발, R&D과제 기획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 중장기 관점에서 신사업 고도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 2015년부터 4년간 명품강소기업 육성에 나서 명품강소기업 100개사 및 PRE-명품강소기업 20개사를 발굴하고, 스타기업 15개사, 글로벌강소기업 23개사, 월드클래스 300 6개사 등을 선정한 바 있다.
이병훈 문화경제부시장은 “기업이 경제성장의 축을 이루는 만큼, 우리 기관들이 기업 중심의 인식을 기반으로 투자하기 좋은 조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떠나는 광주에서 찾아오는 광주’가 되도록 노력하자”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