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도전’ 전남 스마트팜 밸리사업 유치 ‘적신호’
2차 후보 공모 고흥군 도전…전국 6개 지역 각축 치열
지역 농민단체 “농업계의 4대강 사업” 공모 중지 촉구
지역 농민단체 “농업계의 4대강 사업” 공모 중지 촉구
![]() 김영록 전남도지사, 송귀근 고흥군수, 정병석 전남대학교 총장, 박철우 순천대학교 기획처장, 박민서 목포대학교 총장, 정영준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장, 이광록 남해화학 대표이사 등이 25일 도청 정약용실에서 스마트팜 혁신밸리 성공 추진을 위한 산·학·연·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
정부의 ‘스마트팜 밸리’ 사업 추진에 전남지역 농민단체와 일부 야당이 반대하면서 전남도가 재공모에 나서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에 빠간불이 켜졌다.
25일 전남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다음달 8일까지 스마트팜 확산 거점조성을 위한 ‘스마트팜 혁신밸리’ 추가 공모를 진행한다. 지난해 1차 공모에서 경북 상주와 전북 김제가 선정됐고, 이번 2차 공모에는 전국에서 2곳이 추가로 선정될 것으로 보인다.
전남도는 지난해 정부의 1차 공모에서 해남이 실패한 만큼 이번 2차 공모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2차 후보 공모지는 고흥군으로 선정됐다.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고흥군 도덕면 가야리 일원에 국비와 도비, 군비 등 700여억 원을 들여 유리온실과 실증단지, 청년보육단지 등을 갖춘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2차 공모에는 전남 고흥을 비롯해 경남 밀양, 강원 춘천, 경기 파주, 충북 제천, 충남 부여 등 6개 지역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도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성공 추진을 위해 25일 산·학·연·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전남만의 차별화된 전략으로 이번 공모에서는 반드시 유치한다는 전략이다. 업무협약에는 전남도와 고흥군, 전남대학교, 순천대학교, 목포대학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남테크노파크,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 남해화학, NH무역 등 11개 기관(기업)이 참여했다.
업부협약을 통해 전남지역 3개 대학은 청년·창업 보육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5개 기업은 기술혁신 분야를 맡고 농산물 해외 수출을 전담하는 NH무역 등과 결합해 생산·교육·연구기능이 집약된 전남만의 차별화된 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전남도의 이같은 재도전 노력 속에 지역 농민단체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사업 유치에 적신호가 켜졌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전남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광주전남연합, 가톨릭농민회 광주대교구연합회는 이날 공동으로 “스마트팜 혁신 밸리 사업은 농업·농민 중심 사업이 아니라 토목·건축의 대기업 중심 사업”이라며 “농민들은 1차 공모 때부터 스마트팜 혁신 밸리사업을 농업계의 4대강 사업이라 규정하고 사업 폐기를 요구한 바 있다”고 공모 중지를 촉구했다.
이들은 “대규모 생산시설 단지의 주요 생산 품목인 파프리카와 피망, 토마토의 생산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 수입 농산물 증가로 인한 가격 폭락이 우려된다”면서 “생산시설만 늘릴 것이 아니라 정부가 가격 안정 대책 등을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정부의 스마트팜 혁신 밸리의 주요 사업 내용인 청년농 육성, 실증 교육연구단지 등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정의당 전남도당도 이날 성명을 통해 “현재 농업의 문제는 생산 기술의 문제가 아님에도 엉뚱한 곳에서 해결책을 찾아 농민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전남도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을 중단하고 농민들이 안심하고 농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농민 기본소득과 농산물 최저 가격 보장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전남도 관계자는 ”이들 농민단체가 주장하는 내용은 전남만이 아니라 전국적인 상황“면서 ”일단 농민들과 소통을 강화하고 2차 공모에서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25일 전남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다음달 8일까지 스마트팜 확산 거점조성을 위한 ‘스마트팜 혁신밸리’ 추가 공모를 진행한다. 지난해 1차 공모에서 경북 상주와 전북 김제가 선정됐고, 이번 2차 공모에는 전국에서 2곳이 추가로 선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2차 공모에는 전남 고흥을 비롯해 경남 밀양, 강원 춘천, 경기 파주, 충북 제천, 충남 부여 등 6개 지역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부협약을 통해 전남지역 3개 대학은 청년·창업 보육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5개 기업은 기술혁신 분야를 맡고 농산물 해외 수출을 전담하는 NH무역 등과 결합해 생산·교육·연구기능이 집약된 전남만의 차별화된 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전남도의 이같은 재도전 노력 속에 지역 농민단체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사업 유치에 적신호가 켜졌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전남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광주전남연합, 가톨릭농민회 광주대교구연합회는 이날 공동으로 “스마트팜 혁신 밸리 사업은 농업·농민 중심 사업이 아니라 토목·건축의 대기업 중심 사업”이라며 “농민들은 1차 공모 때부터 스마트팜 혁신 밸리사업을 농업계의 4대강 사업이라 규정하고 사업 폐기를 요구한 바 있다”고 공모 중지를 촉구했다.
이들은 “대규모 생산시설 단지의 주요 생산 품목인 파프리카와 피망, 토마토의 생산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 수입 농산물 증가로 인한 가격 폭락이 우려된다”면서 “생산시설만 늘릴 것이 아니라 정부가 가격 안정 대책 등을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정부의 스마트팜 혁신 밸리의 주요 사업 내용인 청년농 육성, 실증 교육연구단지 등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정의당 전남도당도 이날 성명을 통해 “현재 농업의 문제는 생산 기술의 문제가 아님에도 엉뚱한 곳에서 해결책을 찾아 농민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전남도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을 중단하고 농민들이 안심하고 농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농민 기본소득과 농산물 최저 가격 보장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전남도 관계자는 ”이들 농민단체가 주장하는 내용은 전남만이 아니라 전국적인 상황“면서 ”일단 농민들과 소통을 강화하고 2차 공모에서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