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길 막는 ‘아파트 숲’·열기 뿜는 車…기후변화 대응 부족
‘광프리카’ 원인은 아파트·자동차…‘폭염 취약성 지수’ 최고
폭염 노출 지수 특·광역시 1위…대응 능력은 낮아
온실가스 감축·도시열섬 저감계획 등 실효성 의문
인공구조물 줄이고 나무 등 자연자원 배치 늘려야
폭염 노출 지수 특·광역시 1위…대응 능력은 낮아
온실가스 감축·도시열섬 저감계획 등 실효성 의문
인공구조물 줄이고 나무 등 자연자원 배치 늘려야
환경부가 최근 분석해 공개한 전국 시·군·구 기초지자체별 ‘폭염 취약성 지수’에서 유독 광주·전남·전북 등 호남지역의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만큼 폭염에 취약한 구조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전남과 전북은 폭염에 노출되는 정도가 다른 지역보다 높았지만, 폭염대응력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광주는 다른 도시에 비해 아파트, 자동차가 최근 10년간 급증하면서 폭염을 부채질했다.
전남과 전북은 폭염 관련 대피 시설의 적극적인 설치가, 광주는 아파트와 자동차 등 폭염 유발 인공구조물의 억제와 함께 폭염 완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폭염 직격탄 맞고 있는 광주·전남·전북= 환경부는 범정부적으로 폭염 대응 대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지원을 위해 전국 시·군·구 기초지자체별로 8월 ‘폭염 취약성 지수’를 분석해 최근 공개했다.
이번 지수는 폭염에 의한 온열질환 발생 및 대응 취약성 정도를 기초지자체별로 상대적으로 평가해 지수화한 것이다. 기후노출(평균온도) 값이 클수록 폭염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며, 민감도가 높을수록 폭염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적응 능력이 클수록 폭염 대응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했다.
총 인구 수, 65세 이상 인구, 5세 미만 영유아 인구 등 3종의 대상별로 8월 폭염 취약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광주·전남·전북에만 취약성 지수가 위험 수위(0.465~0.620)인 지자체가 집중돼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자동차와 아파트의 도시 광주, 대도시 중 폭염에 가장 취약= 광주에서는 상대적으로 개발이 늦은 동구를 제외한 4개 자치구 모두 폭염에 취약했다. 특히 북구(0.58)와 광산구(0.55)는 고위험군에 속했다. 서구(0.51)나 남구(0.49)도 전국에서 취약지수가 가장 높은 전북 완산구(0.61)와 큰 차이가 없었다.
광주가 이처럼 폭염에 취약한 원인은 노출은 0.44로, 전국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은 반면 폭염 대응 강화가 필요한 민감도 역시 최고 0.180(북구)에 달하기 때문이다. 반면 대응 능력은 0.03(남구)에서 0.07(동구)로 낮은 수준이었다.
주행하는 자동차의 경우 폭염 시 표면온도가 섭씨 50도 이상을 보이고, 아파트는 복사열로 도시를 뜨겁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어 결국 아파트, 자동차의 급증이 이 같은 ‘폭염 취약 광주’를 만들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또 도심 곳곳에 들어서는 아파트는 바람길을 막아서 도시 내 공기 순환을 막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2020년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무용지물될 가능성 높아= 광주시는 지난 2015년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2016~2020)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정책을 통한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기후변화 위기에 대처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계획의 목표다.
탄소은행제 운영, 공공 및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운영, 광주 그린액션사업 추진, 저탄소 녹색아파트 조성사업 등 환경생태국 23개 사업 등 123개 사업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겠다는 것이다. 2020년까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후변화 적응 기반을 마련하고, 2025년에는 부문별 기후변화 위험 감소 및 적응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그러나 자동차, 아파트 등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 같은 대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이 계획에서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800만t 이하 유지 및 200만t 감축 ▲전체 화석에너지 소비량 중 5% 신재생에너지로 공급 ▲친환경자동차 5만대 보급 ▲편리하고 신속한 대중교통 기반시설 확충 ▲오존 및 대기 중 미세먼지 4계절 관리농도 이하로 유지 등을 목표로 내놨다. 이 외에도 ▲가연성 폐기물 재활용률 60%로 향상 ▲빗물 재이용 시설 100개소 설치 ▲도시열섬 저감시설 10개소 설치 ▲도심 옥상녹화 면적 3만㎡ 확충 등도 포함돼 있다.
이경희 광주·전남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은 “기존 도심이나 외곽에 이르기까지 아파트가 들어서고 그 소통을 위해 아스팔트 도로와 자동차들이 다니고 있는 것이 광주의 현실”이라며 “도시 열기를 감축시킬 수 있는 녹지, 나무, 물, 흙 등 자연자원을 곳곳에 더 배치하는 것밖에 방법이 없다”고 지적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 폭염 직격탄 맞고 있는 광주·전남·전북= 환경부는 범정부적으로 폭염 대응 대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지원을 위해 전국 시·군·구 기초지자체별로 8월 ‘폭염 취약성 지수’를 분석해 최근 공개했다.
이번 지수는 폭염에 의한 온열질환 발생 및 대응 취약성 정도를 기초지자체별로 상대적으로 평가해 지수화한 것이다. 기후노출(평균온도) 값이 클수록 폭염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며, 민감도가 높을수록 폭염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적응 능력이 클수록 폭염 대응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했다.
◇ 자동차와 아파트의 도시 광주, 대도시 중 폭염에 가장 취약= 광주에서는 상대적으로 개발이 늦은 동구를 제외한 4개 자치구 모두 폭염에 취약했다. 특히 북구(0.58)와 광산구(0.55)는 고위험군에 속했다. 서구(0.51)나 남구(0.49)도 전국에서 취약지수가 가장 높은 전북 완산구(0.61)와 큰 차이가 없었다.
광주가 이처럼 폭염에 취약한 원인은 노출은 0.44로, 전국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은 반면 폭염 대응 강화가 필요한 민감도 역시 최고 0.180(북구)에 달하기 때문이다. 반면 대응 능력은 0.03(남구)에서 0.07(동구)로 낮은 수준이었다.
주행하는 자동차의 경우 폭염 시 표면온도가 섭씨 50도 이상을 보이고, 아파트는 복사열로 도시를 뜨겁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어 결국 아파트, 자동차의 급증이 이 같은 ‘폭염 취약 광주’를 만들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또 도심 곳곳에 들어서는 아파트는 바람길을 막아서 도시 내 공기 순환을 막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2020년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무용지물될 가능성 높아= 광주시는 지난 2015년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2016~2020)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정책을 통한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기후변화 위기에 대처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계획의 목표다.
탄소은행제 운영, 공공 및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운영, 광주 그린액션사업 추진, 저탄소 녹색아파트 조성사업 등 환경생태국 23개 사업 등 123개 사업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겠다는 것이다. 2020년까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기후변화 적응 기반을 마련하고, 2025년에는 부문별 기후변화 위험 감소 및 적응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그러나 자동차, 아파트 등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 같은 대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이 계획에서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800만t 이하 유지 및 200만t 감축 ▲전체 화석에너지 소비량 중 5% 신재생에너지로 공급 ▲친환경자동차 5만대 보급 ▲편리하고 신속한 대중교통 기반시설 확충 ▲오존 및 대기 중 미세먼지 4계절 관리농도 이하로 유지 등을 목표로 내놨다. 이 외에도 ▲가연성 폐기물 재활용률 60%로 향상 ▲빗물 재이용 시설 100개소 설치 ▲도시열섬 저감시설 10개소 설치 ▲도심 옥상녹화 면적 3만㎡ 확충 등도 포함돼 있다.
이경희 광주·전남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은 “기존 도심이나 외곽에 이르기까지 아파트가 들어서고 그 소통을 위해 아스팔트 도로와 자동차들이 다니고 있는 것이 광주의 현실”이라며 “도시 열기를 감축시킬 수 있는 녹지, 나무, 물, 흙 등 자연자원을 곳곳에 더 배치하는 것밖에 방법이 없다”고 지적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