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방사능 사고 지자체 대응 빨라진다
  전체메뉴
한빛원전 방사능 사고 지자체 대응 빨라진다
영광군 등 전국 29곳 ‘상황정보공유시스템’ 구축
구호소 위치 등 실시간 정보 … “주민에게도 공개” 주장
2018년 04월 19일(목) 00:00
영광 한빛원전 등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이 누출됐을 경우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정보를 공유하며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됐다.

그러나, 원전 관련 시민단체는 원전에 대한 정보를 주민들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 공유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행정안전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방사능 누출재난 발생 시 신속한 주민보호를 위해 영광군 등 원전시설 주변 29개 지자체에 ‘방사능상황정보공유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원전사고 발생 시 방사능 누출 범위, 구호소 위치 등 지자체가 사고대응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다자간 영상회의 기능도 갖춘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이다.

시스템 구축에 따라 원전주변 29개 지자체는 평상시 원전가동상태 및 전국·지역별 환경방사선 정보 등을 공유하게 된다.

실제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기관별 비상대응활동을 비롯한 방사성물질 대기 확산 분포·방사성물질 오염지역 평가 등을 통해 산출한 오염 예상범위를 지자체가 즉시 알 수 있다. 대응기관 간 영상회의 기능을 통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조치가 이뤄질 계획이다.

원안위에 따르면 한빛원전 방사선 비상계획 구역은 영광·무안·장성·함평군과 전북 고창·부안군 등 6개 군으로 총 13만7326명이 거주하고 있다.

원전에 인접한 지자체들은 안전망 확충을 반기고 있다. 그동안 원전사고시 방사능 상황을 알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이 없어 피해를 키울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기 때문이다.

영광군 안전관리과 관계자는 “기존에 한빛원전과 핫라인이 구축되긴 했지만 원전 관련 상황을 정확히 알기 어려웠다”며 “영상회의 시스템으로 비상 상황이 발생하거나 훈련 등을 할 때 대피 경로가 어떻게 되고 어떻게 조치해야 하는지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하게 돼서 다행이다”고 말했다.

장성군 재난안전실 관계자는 “그동안 영광과 달리 인접 시·군은 전화나 팩스를 통해 원전에서 제공하는 일방적인 정보에 의존해야 했다”며 “다자간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으로 지자체의 의견을 전달할 수 있고 위험 상황이 발생했을 때 현장에 가지 않아도 정확하게 상황 파악을 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보 공유 대상을 지자체 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종필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 활동가는 “원전 가동 현황 뿐 아니라 가동중지됐을 때 원인이나 문제점도 함께 공유하는 체계가 필요하다”며 “일반인들도 원전 관련 상황을 알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용희기자 kimyh@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