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잇단 공습 … 근본 저감대책 시급
  전체메뉴
미세먼지 잇단 공습 … 근본 저감대책 시급
최악 미세먼지에도 경보 메시지만 … 시민 ‘건강 불안증’ 커져
광주시, 노후 경유차 폐차 등 재탕 대책 탈피 총력전 나서야
2018년 04월 17일(화) 00:00
지난 15일 광주시 서구 유덕동에서 바라본 광주 도심이 미세먼지(PM10)로 뒤덮여 뿌연 회색빛을 띄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미세먼지가 연일 광주의 하늘을 뿌옇게 뒤덮으면서 시민들의 ‘건강 불안증’이 커지고 있다.

광주시는 오는 2030년까지 초미세먼지 농도를 30% 이상 줄이겠다는 계획이지만, 노후 경유차 폐차 지원 등 사실상 기존 대책을 재탕하는 수준이어서 현실적인 저감대책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후 1시께 광주의 미세먼지 농도는 평균 422㎍/㎥까지 치솟으며 경보가 발령됐다. 지난 2015년 관측을 시작한 이래 두번째로 높은 수치였다.

광주시는 이날 미세먼지 경보에 따라 정부 ‘국민재난안전포털’을 통해 시민들에게 ‘미세먼지(PM-10) 주의보·경보 발령 알림’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조치를 했다.

하지만, 이날 하루 종일 미세먼지 탓에 답답하고 불안한 광주시민들의 마음과는 달리 광주도심에선 미세먼지를 일부나마 씻어낼 수 있는 살수차 동원 등 최소한의 조치조차 찾아볼 수 없었다.

광주시는 이날 경보는 황사로 인한 미세먼지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저감대책을 시행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황사는 초미세먼지(PM2.5)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강에 덜 해롭기 때문이라는 게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시가 추진중인 미세먼지 저감 대책도 모두 초미세먼지 저감에만 맞춰져 있다.

광주시는 지난 2016년 ‘2030 미세먼지 저감 추진 계획’을 발표했는데, 2030년까지 829억원을 투입해 초미세먼지 농도를 유럽수준인 18㎍/㎥까지 단계적으로 줄이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또 광주시가 지난달 26일 발표한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계획’도 초미세먼지저감이 목표다. 이 계획은 초미세먼지가 76㎍/㎥ 이상일 때 주·정차시 공회전 금지, 대기오염 배출사업장 조업시간 단축 조치 등에 나서도록 하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환경부에서 초미세먼지를 기준으로 삼아 대응요령을 만들었기 때문에 광주시도 이를 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지난 15일 오후 4시 미세먼지 경보가 발령된 대구시의 경우 지하수를 활용해 도로를 세척하는 클린로드시스템을 가동했고 살수차를 동원해 도심 곳곳에 물을 뿌렸다. 미세먼지 경보 안내 문자메시지만 보낸 광주시와 대비되는 모습이었다.

대구시의 한 관계자는 “미세먼지를 없앨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총동원하고 있다”면서 “행정기관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은 시민에게 최소한의 심리적 안정을 주고,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효과 등도 있다”고 조언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초미세먼지가 더 건강에 해로울 뿐이지 미세먼지가 괜찮은 건 아니다. 최소한 매연을 내뿜으며 광주도심을 활보하는 차량에 대한 조치라도 강화했으면 한다”면서 “5월달까지 황사가 자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광주시에서 전반적인 미세먼지 대책을 시급히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공기 순환을 고려하지 않는 광주시의 무분별한 도시개발 정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조성용 전남대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는 “도심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형 지형인 광주는 공기흐름이 정체돼 외부로부터 밀려오는 황사 등 오염물질이 갇히는 등 미세먼지에 취약한 특성이 있다”면서 “특히 무작위로 세워진 고층 아파트들이 바람 흐름을 막고 있어 이런 현상이 가속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용희기자 kimy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